저소득층이 체감하는 물가상승률이 고소득층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은 가격 변동이 심한 식료품 소비가 많은 반면 고소득층은 교육비 지출이 더 크기 때문이다.
25일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을 보면 올해 3분기 저소득층인 소득 하위 20%의 물가는 지난해 3분기보다 2.4% 올랐다. 반면 고소득층인 소득 상위 20%의 물가상승률은 1.5% 오르는데 그쳤다.
2분기에도 고소득층(4.3%)보다 저소득층(5.0%)의 물가상승률이 더 높았다. 1분기에만 고소득층이 6.1%, 저소득층이 4.8%로 조사됐다.
최근 3년간 물가상승률은 소득분위별로 편차가 심했다. 지난 2010년 전년 동기 대비 저소득층의 물가는 7.5%로 치솟았지만 고소득층은 3.7% 오르는데 그쳤다. 2011년에는 저소득층 6.5%, 고소득층 1.6%로 격차가 더 커졌다.
2010~2011년만 보면 고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은 한국은행의 물가관리범위(3.0%±1.0%)에 안착했으나 저소득층은 이를 크게 벗어났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이 차이가 나는 것은 소비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저소득층은 식료품 소비가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2008년 기준 20.1%)이 상대적으로 높다. 반면에 고소득층은 11.4%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식품 가격이 오르면 저소득층이 체감하는 물가상승률은 더 높다.
고소득층의 경우 교육비가 물가상승률을 좌지우지한다. 전체 지출 중 교육비 지출 비중이 14.1%로 높기 때문이다.
지난 2009년 고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은 전년 대비 3.3% 올랐는데, 저소득층은 마이너스(-) 1.5%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고소득층의 교육비 지출은 전년보다 14.4% 올랐고, 저소득층은 5.2% 떨어졌다.
올해 1분기에도 고소득층의 교육비 상승률은 42.8%, 저소득층은 8.8%로 집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득 하위 20%는 농축산물 가격 등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면서 “다만 소득분위별 물가는 표본과 조사시장 규모의 한계로 통계적 의미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하남현 기자/airinsa@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