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자영 기자]금융산업의 성장으로 벌어진 계층간의 불평등이 한계점에 다다랐을 때 금융 위기가 반복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종희 교수는 11일 ‘금융산업의 발전은 불평등을 증가시키는가?’ 논문을 통해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세계 금융중심지 미국의 지난 1세기 간 금융사를 분석한 이 논문은 각종 경제자료를 토대로 금융산업의 발전과 소득불평등의 상관관계를 추적했다.
논문에 따르면 지난 100년간 금융산업이 성장할수록 고소득층에게 부(富)가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 계층간의 불평등이 임계점에 다다르면 금융위기가 찾아오는 패턴이 반복됐다.
1929년 상위 0.01% 계층의 소득비중이 전체의 12%에 달해 불평등이 최고점에 달했고 대공황이 일어났다. 2007년 역시 이들의 최상위 계층의 소득비중이 다시 12%를 넘어서며 금융위기가 일어났다. 박 교수는 “역사는 스스로 반복한다는 말처럼 두 번의 위기는 모두 장기 경제침체를 가져왔다는 유사점도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위기 발생 직전 미국의 증권 브로커는 제조업 평균 급여의 4배에 가까운 3.89배를 받았다. 전체 금융부문 종사자도 제조업의 1.59배를 받아 100년 동안 가장 불평등한 수준이었다.
박 교수는 “일반적으로 금융부문의 평균급여가 제조업 대비 50%이상 오르면 소득불평등은 두 배 이상 상승해 장기균형관계가 나타났다”며 “이 균형마저 이탈했던 2007년의 소득불평등 수준은 미국 경제가 지속하기 어려운 상태임을 경고하는 지표였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0년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의 연봉은 2986만원, 금융업은 4850만원으로 1.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박 교수는 는 “한국은 1980~1990년대를 거치며 금융산업의 발전이 이뤄졌고 이것이 1997년 외환위기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됐다”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금융산업과 소득불평등의 관계가 (미국과)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nointerest@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