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창조경제 · 경제민주화 양대 국정화두 가속 방점
靑, 미래부·공정위장 인선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응용수학 전공 정보통신 전문가
ICT-과학기술 접목 적임자 판단
R&D등 각 부처 정책 조율 과제




박근혜 대통령은 김종훈 전 벨연구소 사장의 사퇴로 공석이었던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최문기 카이스트(KAISTㆍ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과학과 교수를 14일 내정했다. 최 내정자는 경북고 출신으로 서울대 응용수학과를 졸업했고, 한국통신학회 부회장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비상임이사를 지냈다.

미래부는 ▷과학기술 ▷정보통신기술(ICT) ▷연구ㆍ개발(R&D)을 책임지는 ‘매머드 부처’로, 박근혜 정부의 성패를 가늠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상력과 창의성, 과학기술에 기반한 경제 운영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만들어가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 ‘창조경제’를 뒷받침하기 때문이다. 추격ㆍ모방형 경제에서 선도ㆍ창의형 경제로, 경제성장률 지향의 경제에서 고용률 지향의 경제로, 양적 성장에서 인적 자본과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성장도 이뤄내야 한다.

궁극적으로 박 대통령의 계획대로 창의력ㆍ상상력에 과학기술을 접목한 창조경제 활성화를 통해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일자리를 창출해내는 것이 미래부의 궁극적 과제가 된다.

최 내정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을 지낸 정보통신기술(ICT)의 전문가다. 또 응용수학을 전공, 과학기술에도 밝은 전문가이기도 하다. 이런 최 내정자의 경력을 보고 박 대통령은 ICT와 과학기술을 결합할 적임자로 낙점한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최 내정자가 ICT 전문가라서 기존 과학기술계의 협조를 이끌어내는 것이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계는 김 전 사장에 이어 계속해서 장관 후보자를 내지 못해 일각에서 불만이 쌓여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또 미래부가 연구개발(R&D) 등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 만큼 최 내정자가 여러 부처의 정책을 조율하고 융합 시너지를 이끌어야 할 능력도 갖춰야 한다.

하지만 국회로 넘어간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통과가 최 내정자와 청와대의 당면과제다.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는다면 최 내정자는 당분간 인사청문회는커녕 후보자 신분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신상윤 기자/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