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옥 안전행정부 2차관 |
안행부는 매달 안전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앞으로 나타날 재난을 예측하고 대비한다.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차원이다. 반면 지난 7월 ‘노량진 배수지공사 수몰 사고’와 같은 경우 예측은 못했지만, 사후 대책이라도 강구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었다.
지방행정체계도 구축했다. 지방자치단체에 재난을 중점 관리하는 안전책임관(CSO)과 안전을 총괄하는 국(局)을 만들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안행부는 협업체계가 이뤄질 수 있도록 업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민간체계도 갖췄다. 시ㆍ도별로 ‘안전문화실천협의회’를 구성하고 행정과 민간이 함께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었다.
안행부는 안전대책을 협업ㆍ현장ㆍ국민이라는 ‘3대 키워드’를 갖고 운용하고 있다. 예전의 안전대책은 땜질식이었다. 사고가 나면 복구하고 법을 개정했다. 지금은 선제적ㆍ예방적ㆍ근원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안전에 현장 개념도 강조했다. 서류 위주의 공급자 입장이 아니라 현장에서의 대응능력을 키우자는 것이다. 가령 불산 누출 사고에 대비해 각 지역 공단에 방재센터를 만들고 사고 시 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했다.
안행부가 추진하는 ‘정부 3.0’은 국민의 입장에서 업무를 처리하자는 개념으로 접근했다. 수해를 입었을 경우 피해 복구를 지원받아야 하는데, 예전에는 농민들이 동사무소나 보험사 등을 일일이 찾아다녔지만 지금은 동사무소에서 일괄적으로 처리해준다. 안행부는 또 지역에 안전지도를 만드는 사업에 역점을 기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