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허연회 기자]35세~64세인 국내 중장년층의 경제적 노후준비상태가 50점 미만에 그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1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윤경 부연구위원의 ‘경제적 노후 준비 실태 및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중장년층의 재무, 여가 부분에 대한 노후 준비가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2012년 개발한 노후준비 진단지표에 따라 3070명(남성 1546명, 여성 1524명)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재무·건강·대인관계·여가 등 4개 영역에 걸쳐 노후준비실태를 설문조사 방식으로 점검했다.
경제적 노후준비 정도를 보여주는 재무영역은 예상 은퇴연령, 은퇴 후 소득활동의 안정성, 제2의 일에 대한 준비, 노후필요 생활비에 대한 인식, 공적연금· 퇴직연금·개인연금·금융자산·부동산 등 자산현황 등 12개 항목에 걸쳐 조사됐다.
분석 결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상태는 재무영역은 총점수 100점 만점에 평균 47점 수준으로 여가영역(46.1점)과 비슷했고, 대인관계영역(60.5점), 건강영역(75점)에 견줘서는 현저히 낮았다.
특히 재무영역의 노후준비 정도는 성·연령·학력·직업별로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49.8점으로 여성(44.4점)보다 노후재무준비 수준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40대가 49.8점, 50대가 47.9점으로 30대 46.8점이나, 60대 37.2점보다 높았다.
학력별로는 대학 재학 이상 52.3점, 고졸 46.3점, 중졸 이하 39.2점 등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적 노후준비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 56.4점, 판매서비스 51.8점, 농임어업 49.1점, 블루칼라 48.9점, 미취업 30점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위원은 “현실적으로 노후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불안해하는 국민을 위해 정년연장, 재고용 등 고령층 고용개선과 소득보장에 힘쓰고 노후준비 설계서비스 제공 같은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okidok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