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홍화원 김수한 대표…산청 농가와 계약재배 · 홍화 가공식품 제조 · 약초식당 등 관광효과까지
비가 오던 어느 날 아내가 아파트 계단을 내려가다가 미끄러져 심한 골절을 당했다. 병원에서는 당장 수술해야 한다고 했지만 겁이 많았던 아내는 접골원에서 뼈만 맞춘 후 붕대를 감는 것으로 끝냈다. 처가가 선대부터 한약방을 해왔던지라 뼈에 좋은 것으로 전해졌던 홍화씨를 꾸준히 먹었다. 20일 후 병원에 갔더니 기적처럼 뼈가 다 붙었다는 검사 결과가 나왔다. 그 뒤로 인생이 달라졌다. 20년 가까이 근무한 삼성생명을 그만두고 홍화 사업에 뛰어들었다. 산청 홍화원의 김수한 대표 얘기다. 그때가 1997년이었으니 17년째 홍화 하나만 바라보고 살았다.▶직접 체험한 홍화의 효능=홍화는 한약명이다. 일반인들에게는 ‘잇꽃’이란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사람 몸에 이롭다고 해서 그렇게 불려져 왔다. 옛날에는 꽃잎은 화장품이나 식품의 색소로 쓰였고, 씨는 기름을 짜거나 가루를 내 먹었다. 효능을 직접 체험하고 나니 망설일 이유가 없었다.
김 대표는 “당시 홍화가 약용으로 묶여있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질의서를 올리는 등 온갖 노력으로 1996년 12월 식품으로 인정을 받았다”며 “바로 공장 부지를 물색해 다음해인 1997년에 공장을 준공했다”고 설명했다.
산청 홍화원은 100% 산청에서 생산되는 홍화로 제품을 만든다. 홍화꽃은 보통 7월 첫 주에 활짝 피어 장관을 이룬다. |
홍화원을 설립할 때만 해도 산청에서는 홍화가 많이 재배되지 않았다. 김 대표는 산청군과 연계해 농가들과 계약재배를 시작했다. 지금은 계약재배 농가가 100여곳까지 늘어났다. 올해 수매량은 11t 안팎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정도면 농가의 수익도 2억원에 달하게 된다.
그는 “지리산 인근의 산청군은 다른 지역보다 일교차가 크고 물이 맑아 홍화의 생장을 빠르게 하는 것은 물론 효능을 극대화하는 재배 적지라는 판단이었다”고 말했다.
▶홍화를‘1+2+3’차 산업으로=홍화원은 홍화로 6차 산업을 일궈냈다. 6차 산업화란 농업의 1차(생산)부터 2차(제조ㆍ가공), 3차(유통ㆍ문화ㆍ관광)산업을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1차 생산물인 홍화씨와 홍화꽃은 산청 농가와 계약재배를 통해 수급한다. 김 대표는 “홍화원은 20년 가까이 100% 수매를 하며 재배농가와 같이 성장해 왔다”며 “홍화원의 홍화씨와 꽃은 100% 산청산만 사용한다”고 밝혔다.
2차는 가공품이다. 홍화씨를 이용해 홍화씨, 홍화환, 홍화차 등 홍화 관련 제품과 인진쑥환, 산수유환, 느릅나무환, 민들레환 등 가공품을 만들고 있다. 최근에는 홍화샴푸와 비누 등도 개발했다.
홍화씨가 뼈에 좋다면 인진쑥은 간에, 민들레나 느릅나무는 위궤양이나 위염에 좋다. 산수유는 신장에 이롭다.
홍화원 김수한 대표. |
3차는 온라인 판매와 관광이다. 홍화원은 계약재배와 제품생산, 그리고 현장 및 온라인 판매까지 원스톱 생산시스템을 구축했다.
또 현장 판매처와 함께 홍화약초식당을 만들어 소비자와 접점을 늘렸다. 홍화약초식당에서는 홍화를 이용한 비빔밥과 칼국수, 동동주 등을 판다. 이 역시 100% 산청 홍화만을 이용한다. 홍화원식당은 이미 그 근처에 가면 꼭 들러야 할 명소다.
한 해 매출은 20억원에 달한다. 홍화제품 판매가 7억원 안팎이며, 식당 등에서 나머지 수익이 난다.
홍화원은 지난 3월에는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인증을 받아 제품을 믿고 먹을 수 있도록 했다.
▶협동조합으로 유통ㆍ마케팅 해결=아무리 좋은 농산물을 생산하고, 건강식품을 개발한다고 해도 판로가 없다면 아무 필요가 없다. 지역 농가나 생산업체들의 가장 큰 고민은 바로 유통과 마케팅이다. 홍화원 역시 사정이 다르지 않았다.
때마침 법개정으로 손쉽게 설립이 가능해진 협동조합이 해결책이 됐다. 김 대표는 산청 다른 기업인과 손을 잡고 ‘산청군 동의보감촌 기업인협동조합’을 결성했다. 지난 6월 신청서가 수리됐으며 공동구매ㆍ생산ㆍ마케팅이 설립 목적이다.
일반인들에게‘잇꽃’이란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진 홍화. |
이미 공동매장이 하나 문을 열었는데 효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김 대표는 “지역에 바이어가 올 때마다 생산없체들을 일일이 다 불러모을 수도 없는 상황에서 공동매장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며 “협동조합의 공동매장이 문을 연 지 한달반 정도밖에 되지 않았는데 매출 3억원을 올린 상황”이라고 전했다.
앞으로는 홍화 관련 제품의 수출을 위해 힘쓸 계획이다.
김 대표는 “수출을 위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해왔으며 그동안 주로 중국산을 수입했던 미국과 일본에서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달 들어서는 품질이 좋은 홍화를 찾는 중국 바이어들과의 미팅도 가졌다”고 밝혔다.
안상미 기자/hu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