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경력단절 막을 ‘시간선택제’ 조기정착돼야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 중인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이 영 속도를 못내고 있다. 10개 그룹이 1만명 수준을 목표로 지난해 말부터 채용에 나섰지만 확정인원은 30%에도 못 미친다. 6000명을 모집하려던 삼성그룹은 1500명밖에 뽑지 못해 최근 2차 모집에 나섰다. 판매 부문 채용이 많았던 신세계를 제외하곤 대부분 한 명도 못 뽑거나 성과가 저조하다.

공기업들은 거의 손을 놓고 있다. 2017년까지 시간제 일자리 비중을 10%까지 끌어올린다고 했는데 아직 4% 수준이다. 그나마 반나절 생산직 채용은 어렵다며 빠져 있던 현대자동차그룹이 뒤늦게 1000명 모집 계획을 발표해 힘을 보태고 있다.

시간선택제 근로는 구직 희망자들 입장에서 볼 때 분명 100점짜리 일자리는 아니다. 정규ㆍ전일 근로자들과 근무여건에 차이가 있다. 이것이 지원이 저조한 이유일 것이다. 그렇지만 이 제도는 우리 사회의 ‘경력 단절자’ 확산을 막는 데 매우 유효하다. 출산 후 일과 가정 양립이 어려운 30대 이상 여성 구직자, 썩히기 아까운 경험과 기술을 가진 장년 구직자들에게는 큰 기회다. 대기업들이 제시하는 근로 조건도 나쁘지 않다. 현대차그룹은 아예 일부를 정규직으로 뽑을 계획이며 대부분 2년 근무 후 정규직 전환의 기회를 열어 놓고 있다. 삼성의 경우 직무별 재택근무와 성과인센티브(OPI)까지 보장하고 있다.

아직은 더딘 시간선택제 일자리 사업이 정착되려면 풀어야 할 과제들이 있다. 정부는 이 제도를 고용률 70% 달성의 단기수단으로 여겨선 안 된다. 실질적으로 노동시장의 질적 개선과 안정에 도움 되도록 꾸준히 제도를 개선, 보완해 가야 할 것이다. 특히 대기업만 압박하지 말고, 움직이지 않는 공기업들을 적극 독려해야 한다.

모집 분야는 좀 더 세분화하고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 단순 아르바이트 수준의 일감보다는 근로자들의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는 일자리를 만들어 내야 한다. 특히 정규직 채용의 기회를 최대한 넓혀 주어 근무 의욕을 높이고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게 해야 한다. 계약 만료 후, 혹은 계약기간 중이라도 채용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제도를 통해 지방 고용문제 해결에도 숨통이 트였으면 한다. 대부분 지역 사업장들이 많으니 지방 선발 비중을 높여도 좋을 것이다. 단기근무 비정규직만 양산할 것이라는 세간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회사와 구직자, 그리고 국가경제에도 도움이 되는 일자리가 속히 정착되길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