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민노총 총파업은 여론 역주행이다
민주노총이 25일 박근혜 정부 출범 1주년에 맞춰 하루 시한부 총파업을 강행했다. 민주노총은 지난해 말 경찰이 불법파업에 돌입한 철도노조 집행부를 검거하기 위해 서울 정동 본부에 공권력을 투입하자, 박근혜정권 퇴진을 기치로 하는 ‘국민 총파업’을 예고한 바 있다. 이들은 재야단체와 손 잡고 전국 12곳에서 동시다발 집회와 촛불시위에 들어갔다. 총파업에는 지난해 말 최장기 파업으로 국민의 발을 묶었던 철도노조까지 가세했다. 노동계는 이번 파업을 정권 퇴진 투쟁의 시발점으로 삼을 태세다. 정호회 민주노총 대변인은 “오늘 총파업을 계기로 오는 6~7월 2차 국민 파업을 조직하는 등 박근혜 정권 퇴진 투쟁을 더욱 강력히 전개하겠다”고 했다.

파업은 근로자의 정당한 쟁의 수단이다. 하지만 명분이 없는 정치파업은 사회를 분열시키고 갈등만 조장할 뿐 근로자의 삶의 질 개선에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다. 민주노총은 지금 여론의 흐름과는 거꾸로 가고 있다. 우선 제 식구의 지지도 받지 못하고 있다. 민주노총의 전위대 역할을 하는 금속노조는 최근 찬반투표에서 56%가 파업에 반대표를 던졌다. 금속노조 산하 최대 조직인 현대차 노조마저 64%가 동참을 거부했다. 명분 없는 정치파업에 동원되고, 들러리 서는 일은 더 이상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현대차 노조는 결국 간부 300여명만 참여키로 하는 등 파업의 동력은 사전에 힘을 잃었다.

민주노총이 슬로건으로 내세운 ‘박근혜정권 퇴진’은 국민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국민은 박 대통령이 강력 추진 중인 민주노총 산하 공공부문 노조의 개혁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지난해 말 22일간 최장기 파업을 벌인 철도노조가 결국 손을 든 것도 이런 여론의 힘이 뒤에 있어서다. 다음달 총파업을 예고했던 의료계가 정부와 협상 테이블에 앉아 머리를 맞대고 실리적 접근을 한 것도 이런 기류를 알아챘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등 주요 언론사의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취임 1주년 지지율이 60%를 상회하고 있다. 국민적 지지가 꽤 높은 대통령을 상대로 국민파업을 벌이는 모순적 상황을 누가 이해하겠는가.

민주노총은 되지도 않는 정권퇴진 운동에 매달릴 것이 아니라 지금 겉돌고 있는 노사정 대화기구에 적극 참여해 근로시간 단축, 통상임금, 정년 연장 등 시급한 노사 현안을 논의해야 할 것이다. 정부 주도의 노사정위원회가 마뜩지 않다면 지난주 가동을 시작한 국회 환경노동위 노사정 소위원회에서 목소리를 높여도 좋을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