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野 이견 수면 위로… 朴대통령 담화를 보는 두 시선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대국민 담화에서 사과를 하고 아울러 해경 해체, 안전행정부 기능 대폭 축소, 국가 안전처로 일원화 하는 방안까지 거론한 데 대해 여야 간 이견이 나타나고 있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고 후속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대해선 여야가 공감하고 있으나 박 대통령의 진정성, 진상 규명 방법, 후속 대책 방안에 대해선 입장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박 대통령의 사과를 두고 19일 새누리당은 “진정성 측면에서 희생자, 유가족, 국민에게 공감이 되는 부분이 있었다. 모든 책임을 인정하고 껴안은 것”이라고 평가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진정한 사과였는지 의심스러운 대목이 있다”고 꼬집었다. 새정치연합 신경민 의원 이날 KBS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실종자 수색에 대해 아무 말이 없었다. 아울러 질문도 허용되지 않았고 KBS 신보도지침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완구 비상대책위원장겸 원내대표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주호영 정책위의장과 이야기를 하고 있다.이길동기자.gdlee@heraldcorp.com


특히 신 의원은 박 대통령이 담화 중 눈물을 보인 데 대해 “그 부분에 대해서는 더 이상 얘기하고 싶지 않다”고 일축했다. 생명에는 경중이 없는데 살신성인한 분들의 이름을 거론하며 박 대통령이 눈물을 흘린 건 희생자들 모두를 위한 배려가 없었다는 이유다. 다만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은 이날 같은 라디오 방송에서 “내각전반에 대한 책임이라고 박 대통령이 언급한 건 모든 책임이 대통령에게 있다는 뜻”이라며 “대통령의 사과와 눈물을 두고도 야당 내부에서 서로 이견이 있는 것 같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해경을 해체하고 기능을 국가안전처와 경찰청으로 이관하는 데 대해 조 의원은 “중국의 불법어선 조업을 단속하는 해경의 노력은 있었지만, 초동 대응 미숙으로 300명이 넘는 승객을 살릴 수 있는 기회를 놓쳤기 때문에 이 같은 판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본다”고 했다.

반면 신 의원은 “문제가 생기면 프로그램과 조직을 없애버리는 건 대단히 쉬운 방식”이라면서 “해경은 현장에서 수색을 진행해야 조직이기도 하고 차후 특검도 받아야 한다. 근본적인 대책에 대한 논의가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신 의원은 해경과 안전행정부 조직의 안전 기능을 국가 안전처로 일원화 하는 데 대해서 “콘트롤타워를 어디로 두느냐에 대한 고민이 빠졌다” “(국가안전처가) 대단히 큰 조직이 될텐데 치밀한 검토가 너무나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이길동기자.gdlee@heraldcorp.com


또 박 대통령이 퇴직 공무원의 재취업을 제한하는 등 관피아 문제를 척결하기 위해 내놓은 방안에 대해서도 새누리당은 “적절하다”고 평가한 반면, 새정치연합은 “박 대통령의 인사 철학에 대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정치 개혁과 연관된 문제다”라고 꼬집었다.

한편 청와대를 세월호 참사 국정조사 대상에 포함할지에 대해서도 여야 이견을 보이고 있다. 새정치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청와대 보고체계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를 짚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야당의 정치 공세”라며 난감해하고 있다.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