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제조업 체감경기는 모처럼 “살아나네”
9월 BSI 74로 8월보다 2P 상승
정부 경기부양 영향…세월호이후 첫반등


국내 제조업 체감경기가 세월호 사고 이후 처음으로 반등했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74로 전월보다 2포인트 올랐다.

제조업 BSI는 지난 4월 82에서 세월호 사고 여파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5월 79로 꺾였다. 이후 6월 77, 7월 74, 지난달 72로 4개월 연속 떨어지다 이번에 가까스로 반등했다. 10월 업황 전망 BSI도 78로 전월보다 4포인트 상승했다.

지난달 13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얼어붙었던 제조업 체감경기에 온기가 돌기 시작한 것은 고무적이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 BSI는 기업이 느끼는 경기 상황을 지수화한 것으로, 지수가 100을 넘어야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나쁘게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하는데, 지수는 70선에 머물고 있다.

박성빈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유럽ㆍ일본ㆍ중국 등 전반적인 세계 상황이 아직까지 불확실하지만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이어져 제조업 체감경기가 반등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의 경기부양책과 기준금리 인하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기업 유형별로는 중소기업(65→71)과 내수기업(71→76)의 체감경기가 좋아졌지만 대기업(78)과 수출기업(72)은 변동이 없었다.

이달 들어 스마트폰 신제품이 출시되고 LCD(액정표시장치) 부품업체들의 수주 기대감이 증가하면서 전기전자업종의 중소 부품업체 위주로 체감경기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의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철강업종의 중소기업 체감경기도 상승세를 보였다.

제조업체들은 지난 6월부터 4개월 연속으로 내수부진을 가장 큰 경영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조사에 참여한 업체 가운데 내수부진이 애로사항이라는 응답률은 25.3%로 지난달의 22.1%보다 3.5%포인트 높아졌다. 불확실한 경제상황(15.5%→16.0%), 경쟁심화(12.1%→12.4%) 등을 꼽은 응답률도 높아졌다. 

서경원 기자/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