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기부양 효과…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3.9%”
해외 투자은행(IB)들은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이 올해보다 0.3%포인트 개선된 3.9%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해외 IB들이 전망한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한국은행의 전망치에 가깝고 한국 정부가 제시한 것보다는 다소 비관적이다.
27일 금융투자업계와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해외 IB 7곳이 제시한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값은 3.9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한국은행(3.9%)과 유사한 수준이며, 기획재정부의 전망치(4.0%)보다는 낮다.
7개 해외 IB는 BNP파리바, 바클레이즈, 씨티그룹, 도이치방크,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노무라 등이다. 이들이 제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값은 3.61%다. 내년 경제성장률이 올해보다 평균적으로 0.3%포인트 높다. 해외 투자기관들은 미국 중심의 전 세계 경기 회복과 정부의 정책 효과가 내년 한국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봤다.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경기가 큰 흐름에서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미국 양적완화 종료에 따른 달러화 강세로 원화 약세 압력이 커지면서 올 연말까지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될 전망이다. 10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와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도 내수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해외 투자기관은 내다봤다. 우려 요인도 있다. 씨티그룹은 “저금리 기조와 부동산 규제 완화로 늘어날 가계부채는 금융시스템 위기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이지만 내수 진작에는 부정적”이라고 지적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는 “국제유가가 10% 상승하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0.45%포인트 하락하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25%포인트 높아질 수 있다”고 추산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뒤 달러화가 강세를 띠면 원화약세뿐 아니라 엔화 약세도 나타나는데 이는 자동차 등 국내 수출기업의 경쟁력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최근 유럽ㆍ중국의 경기 회복 둔화,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각종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증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한국 경제성장에 대한 시장의 믿음을 약화시켰다.
서경원 기자/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