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동산 규제 해제 여파…9월 인구이동 16년만에 최대폭 증가
[헤럴드경제 = 하남현 기자] 9ㆍ1 부동산 대책의 여파로 지난달 이사인구가 16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9월 국내인구이동’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56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8만1000명(16.6%) 증가했다. 지난 1998년 9월 17.0%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이동자 수는 올해 들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전년 동월 대비 이동자 수 증가폭은 1월 -4.7%에서 2월 5.1%로 반등한 뒤 3월(7.0%), 4월(3.6%) 등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5월(-0.1%)에 소폭 감소했지만 6월(0.1%), 7월(2.6%), 8월(4.4%), 9월(16.6%) 등 4개월 연속 증가세다.

총 이동자 중 시도내 이동자는 67.0%, 시도간 이동자는 33.0%였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12%로 1년 전보다 0.16%포인트 올랐다.

시도별로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은 경북(5772명), 경기(3578명), 세종(3437명) 등 9개 시도에서 순유입을 기록했고 서울(-6126명), 대구(-6094명), 대전(-1147명) 등 8개 시도에서 순유출됐다.

한편 역시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8월 혼인 건수는 2만2300건으로 1년 전보다 3300건(12.9%) 줄었다. 이는 지난해 3월(-16.2%)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혼인은 4월(-2.5%), 5월(-8.1%), 6월(-5.3%), 7월(-8.4%)에 이어 5개월째 감소세다.

정부가 올해 4월부터 국제결혼 건전화를 위해 결혼비자 심사요건을 강화하면서 다문화 혼인이 줄어든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8월 이혼 건수는 9200건으로 1년 전보다 6.1% 감소했다.

8월 출생아는 3만66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0.5% 증가했다.

‘흑룡해’였던 2012년에 출산이 몰린 탓에 기저효과로 출생아 수 증가율이 마이너스였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 출생아 수는 4월부터 5개월째 늘어났다.

8월 사망자 수는 2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 줄었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