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만을 위한 기업 정책은 이제 그만”
코스닥·코넥스 취업박람회 참가기업 설문
“대-중기 상생경영 미흡” 98%
정부 정책 대기업 중심 여전
기술투자·세제혜택 강화 시급



코스닥ㆍ코넥스 상장사들은 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 슬로건을 내걸고 손톱밑가시 제거 등 대중소 상생기업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수혜는 전체 기업의 1%에 불과한 대기업에 쏠리고 있다며 현실을 감안한 중기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기술투자ㆍ세제혜택 강화와 중기ㆍ벤처산업 육성 예산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또 코스닥ㆍ코넥스 상장사는 어려운 경기전망에도 우수 인재 채용을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경제여건이 좋지 않아도 연구개발(R&D)을 놓지 못하는 코스닥기업의 특성뿐만 아니라 우수 인재로 미래 성장동력을 마련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분석된다.

▶“대기업 중심 정부 정책에 중기 부진…갑의 횡포도 여전”=지난 3~4일 헤럴드경제와 한국거래소, 코스닥협회 주최로 열린 ‘2014 코스닥ㆍ코넥스 상장기업 취업박람회’ 참가기업 가운데 설문조사에 응답한 56개사 가운데 98.21%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경영이 아직 요원하다고 지적했다.

대중소기업 상생을 막는 가장 큰 걸림돌로 ‘정부의 대기업 중심의 기업 정책’(35.71%)와 ‘갑을관계 속에서 갑의 횡포’(25.00%)를 꼽았다.

응답자의 41.94%가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투자와 세제혜택 강화’를 꼽았다. 다음으로 ‘중기벤처산업 육성 예산지원’(19.35%), ‘규제개혁’(17.74%), ‘자금지원 방안 마련’(11.29%), ‘산학연 기업 간 협력 풍토 마련’(9.68%)이 뒤를 이었다.

한 코스닥업체 관계자는 “경제민주화, 손톱밑가시 등 정부 정책에도 중소기업들이 현장에서 직접 체감하기엔 다소 부족했던 것 같다”며 “기술투자ㆍ세제혜택 확대와 납품단가 현실화 등 대·중소기업간 갑·을문화 개선 등 정부가 중소기업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추진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코스닥시장에 가장 시급한 정책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39.62%가 ‘해외투자자 대상 기업설명회(IR) 강화’를 꼽았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의 비중이 커졌고 해외자금 유치의 필요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으로 ‘우등반-열등반 구분’(26.42%), ‘상장요건 완화’(24.53%), ‘퇴출요건 강화’(9.43%) 순으로 나타났다.

▶어렵지만 인재 뽑겠다=설문에 응한 56개사 중 37개사(66%)는 ‘내년에 채용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인 채용 분야를 밝힌 기업 가운데 24개 기업이 R&D 인력을 뽑겠다고 밝혔다. 23개사는 신입과 경력을 합쳐 두자릿수 이상 뽑을 계획이다.

한 코스닥 상장사 인사총무팀장은 “기술개발은 한시도 멈출 수 없는, 중소기업의 심장과 같은 것”이라며 “특히 중국 등 글로벌 경쟁자들에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햐서는 R&D투자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중기의 채용 의지에도 현실은 녹록지 않다. 대기업을 선호하는 고용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시급한 정책으로 ‘중소기업 취업 시 지원금 확대’라는 응답이 37.70%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중소기업 홍보지원’(27.87%), ‘구직자와 수요기업 간 데이터베이스 구축’(24.59%), ‘산학 합동 연구지원 강화’(9.84%) 순이었다.

취업박람회에 참여한 권혁민 뷰웍스 경영관리팀 과장은 “실제 면접을 진행한 결과, 청년구직자들이 코스닥ㆍ코넥스기업들을 잘 모르고 있었다”며 “정부가 이번 코스닥ㆍ코넥스 취업박람회와 같은 중기 취업박람회를 보다 많이 열어 우수 인재들이 중기로 올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세환ㆍ손수용 기자/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