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SDS 주가 ‘껑충’, 하이일드펀드 수익률도 ‘쑥’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삼성SDS가 상장 이후 주가가 급등하면서 공모주를 우선 배정 받는 분리과세 하이일드 펀드 수익률도 크게 올랐다.

2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14일 삼성SDS 상장일 이후 ‘흥국분리과세하이일드A’(설정액 2508억원)의 수익률은 4.40%로 나타났다. 이 펀드가 설정된 지난 4월 이후의 수익률은 8.07%로 껑충 뛰어올랐다.

같은 기간 ‘KTB공모주하이일드분리과세2’(726억원)의 수익률은 3.38%, ‘교보악사분리과세하이일드ClassA’(494억원)는 3.40%를 기록하는 등 다른 분리과세 하이일드 펀드 또한 수익률이 우수했다.

삼성SDS의 주가 상승이 이들 펀드의 수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분리과세 하이일드 펀드는 비우량 회사채 및 코넥스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올해 4월 도입됐다. 펀드 자산의 30% 이상을 신용등급 BBB+ 이하의 채권 또는 코넥스시장 상장 주식에 투자해야 한다.

대신 세제 혜택을 주고 공모주 배정 시 전체 물량의 10%를 우선 배정받을 수 있도록 했다. 공모주가 올해 증시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분리과세 하이일드 펀드는 출시 8개월 만에 설정액이 2조원을 넘었다.

삼성SDS 상장 과정에서는 전체 공모주 609만9604주 중 10%인 60여만주가 분리과세 하이일드 펀드에 배정됐다. 삼성SDS가 공모가 19만원에서 상장 일주일 만에 40만원(지난 21일 종가 기준)까지 뛰어오르며 펀드 수익률도 함께 상승했다.

반면 우선 배정 혜택이 없는 일반 공모주 펀드 29개(설정액 100억원 이상)의 삼성SDS 상장 이후 평균 수익률은 0.48%에 불과했다.

분리과세 하이일드 펀드가 공모주 투자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펀드 덩치가 커지면 배정 받을 공모주 물량이 한정된 상황에서 받을 수 있는 공모주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기대수익률도 낮아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또 분리과세 하이일드 펀드는 본래 자산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용도가 취약한 기업의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인 만큼 금리 상승 시 채권 가격 하락과 부도 위험 증가와 같은 위험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