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1973년 3월 14일은 제 2차 남북조절위원회가 열린 날이다. 16일까지 2박3일 간 평양에서 개최됐다.
남북조절위원회는 남북공동성명의 합의사항을 추진하고, 남북관계를 발전시킬 목적으로 설립한 남북 간 정치적 협의기구이다.
1972년 발표한 남북공동성명과 같은 해 만든 ‘남북조절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합의서’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에 따르면, 남북조절위는 평화통일 실현 방안, 정치적 교류 실현, 각 분야의 협력 방안, 군사 긴장 완화 대책, 민족적 긍지 선양 등 각 분야에 걸쳐 협의하도록 했다.
양 국가가 5명의 위원을 구성해 위원회를 꾸리고, 그 밑에 정치, 군사, 외교, 경제, 문화 등 5개 분과위원회를 뒀다. 판문점에 공동사무국을 설치하기로 하고 분기마다 1회씩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회의를 개최하도록 규정했다.
본회의에 앞선 첫 회의는 1972년 10월 판문점 자유의 집에서 열렸다. 우리 정부는 당시 중앙정부부장인 이후락 부장이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 유엔 개입 배제, 방공정책 중지, 미군철수 등 민감한 사안이 거론되면서 결론을 내지 못했다.
1972년 11월 30일 서울에서 제 1차 본회의가 열렸다. 공동성명을 발표하고서 공식으로 남북조절위를 발족했다. 서울은 비정치 분야부터 먼저 교류하자고 제안했고, 북한은 군사대표자회담부터 개최하자고 주장하면서 양측 의견이 엇갈렸다.
2차 본회의는 1973년 3월 14~16일 평양에서 열렸다. 이 회의 역시 경제 문화를 앞세운 남한과 군사 분야를 우선과제로 주장하는 북한과 의견이 좁혀지지 않았다.
이후 3차 회의를 통해서도 양측 의견이 엇갈리면서 회의는 교착에 빠졌고, 1973년 8월 북한 측 김영주 공동위원장이 김대중 납치사건, 6ㆍ23선언(공산권에 문호를 개방하고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등을 담은 선언) 등을 이유로 대화 중단을 선언했다.
이후로도 남북한은 남북조절위의 개편안 등을 두고 의견을 조율했지만 1974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사건이 터지고 이어 남침용 땅굴 등이 발견되면서 남북관계는 악화됐다.
dlc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