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시아·그리스·브라질·터키 등 신흥국 ‘부도위험’ 갈수록 커져.
[헤럴드경제=인터내셔널섹션]그리스와 브라질, 러시아, 터키 등 신흥국들이 과도한 부채와 유가하락, 만성적인 투자 및 소비 부진 등의 이유로 부도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5일 국제금융시장과 시장정보업체 마킷에 따르면 미국 뉴욕시장에서 그리스의 5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에 붙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최근 급등세를 이어가면서 13일 종가 기준 2735.72bp(1bp=0.01%포인트)를 기록 중이다. 이는 지난해 말 1124.89bp보다 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8년 10월의 CDS 프리미엄(135.00)과 비교해도 20배가 넘는 것이다.

사진=게티이미지

CDS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하는 파생상품으로 가산금리(프리미엄)가 붙는다. CDS 프리미엄이 높아지는 것은 그만큼 해당 국가 또는 기업의 부도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스는 지난해 말 구제금융 졸업 문제가 불거지면서 CDS 프리미엄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그리스 정부의채무불이행(디폴트) 선언 가능성과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그렉시트·Grexit) 우려가 커지면서 상황이 악화되는 추세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그리스 정부가 예정된 상환일에 부채를 다 갚지 못하면 채무불이행(디폴트) 선언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브라질과 터키의 CDS 프리미엄도 이날 각각 247.88bp, 215.39bp로 올 들어서만 각각 49.73bp, 34.11bp 상승했다.

FT는 “브라질과 터키 등은 유가와 원자재 가격 약세로 구조적 어려움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브라질은 저조한 기업 투자와 정치인과 기업의 비리 스캔들로 인해 경기침체의 늪에서 좀처럼 빠져나오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서방의 경제 제재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여파로 루블화 가치가 폭락해 진통을 겪다가 최근 회복 추세인 러시아도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러시아의 CDS 프리미엄은 348.40bp로 지난해 말 476.58bp보다는 떨어졌지만 최근 들어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지난 2월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투기(정크) 등급’인 ‘Ba1’로 강등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신흥국 경제가 침체의 늪에 빠진 가운데 미국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신흥국은 추가적인 자본 이탈 현상이 나타나 심각한 경제난에 직면할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도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세계 경제가 요동칠 수 있다”며 “특히 과대평가된 시장과 신흥국의 충격이 심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