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 매년 10월 초 노벨상 수상자 발표를 앞두고 시선을 끄는 것이 올해로 25주년을 맞은 일명 ‘짝퉁 노벨상’인 ‘이그노벨상’이다.
‘이그노벨’은 ‘있을 것 같지 않은 진짜’(Improbable Genuine)라는 말과 노벨(Nobel)의 합성어로, 하버드대 과학 유머잡지 AIR(Annals of Improbable Research)가 1991년 제정했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발표된 제25회 이그노벨상 수상자 중 가장 두드러지는 인물은 하루 5번씩 38일간 벌침에 쏘인 대학원생으로, 벌침의 고통을 연구하기 위해 무려 200번 가까이나 벌에 쏘였다.
코넬대에서 곤충의 행동을 연구하던 대학원생 마이클 스미스는 지난 2012년 벌에 쏘이면 어디가 가장 아픈지 알아내기 위해 직접 벌에 쏘이는 실험에 착수했다.
실험은 매일 아침 9시에서 10시 사이 벌을 핀셋으로 집어 신체 각 부위에 갖다대고 벌이 침을 쏠 때까지 누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렇게 하루 다섯 군데씩 38일간, 25개 서로 다른 신체 부위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 신체 부위별 벌침의 고통을 0부터 10까지의 숫자로 매겼다.
실험 결과 가장 아픈 부위는 콧구멍(9.0), 윗입술(8.7), 성기(7.3) 등이었고, 가장 덜 아픈 곳은 정수리, 팔뚝, 가운뎃발가락(모두 2.3)으로 나타났다.
그는 지난해 4월 내셔널지오그래픽 등에 소개된 논문에서 “정수리 침은 마치 계란을 머리에 내려치는 느낌이었지만 그렇게 아프진 않았다”고 적었다.
반면 “콧구멍에 쏘인 침은 재채기가 나고 숨이 가쁘고 콧물이 질질 흐를 만큼, 온몸이 반응하는 아픔이었다”고 회고했다.
스미스와 올해 이그노벨상을 함께 수상한 곤충학자 저스틴 슈미트의 ‘곤충 침 고통 지수’(sting pain index)도 눈길을 끈다.
스미스가 벌침의 고통을 신체 부위별로 구분했다면, 슈미트는 곤충의 종류별로 총 78가지 침의 고통을 1~4의 지수로 매겼다.
특히 말벌(hornet)은 ‘진하고, 강하고, 약간은 으스러지는 듯한’, 땅벌(yellow jacket)은 ‘뜨겁게 그을리는, 담뱃불을 당신의 혀에 짓이겨 끄는 듯한’ 등 고통의 느낌을 묘사한 표현들은 소믈리에의 와인 감별에 필적할 정도라는 평가를 받았다.
2009년 공중보건 분야 이그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된우크라이나 출신 과학자 엘레나 보드너 박사는 방독면이 필요한 비상상황에서 여성들이 착용한 브래지어가 훌륭한 대체물이 될수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브래지어 방독면’을 개발했다.
2010년 영국 킬대학 강사 리처드 스텐프스는 욕을 하면 고통을 더 잘 참을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욕설요법’을 연구했고, 올해 의학분야 수상팀은 차를 타고 과속방지턱을 ‘쿵’하고 넘을 때 얼마나 아픈지에 따라 맹장염을 진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한편 한국인 수상자로는 향기나는 신사복을 발명해 1999년 환경보호 부문상을 수상한 권혁호 씨가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