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반등 전망을 내놓은 주인공은 압달라 살렘 엘 바드리 석유수출국기구(OPEC) 사무총장이다. 그는 최근 영국 런던의 한 컨퍼런스에서 “올해 글로벌 석유생산 프로젝트 투자 규모가 전년대비 22.4% 줄어든 5210억 달러였다”며 “조만간 공급량이 줄게될 것이고 이는 곳 가격의 상승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년 반에서 2년 내로 석유시장이 다시 균형을 되찾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사진=게티이미지] |
연간 1300억 달러에 달하는 설비투자 축소액이 유가 반등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는 뜻이다.
파티흐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도 “올해 투자 감소폭은 사상 최대인 전년대비 20% 수준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석유메이저로 꼽히는 로열더치셸의 벤 반 뷰르덴 최고경영자(CEO)역시 OPEC은 생산량을 유지하는 반면 OPEC 외부 국가 및 기업들이 투자를 줄이면서 생산량이 감소, 유가가 갑자기 튀어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시장을 올바르게 만들고 새로운 균형을 찾게 되면 가격은 회복될 것”이라며 “미국 셰일오일 생산량의 증가세가 멈추고 OPEC 외 국가들도 투자를 줄이면서 공급증가폭이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같은 전망 아래 8월 말 40달러선이 무너졌던 서부텍사스유(WTI)는 다시 50달러선을 바라보고 있고 한 때 40달러 초반대였던 브렌트유도 6일(현지시간) 다시 50달러선을 뛰어넘었다.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조차 유가하락으로 올 해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GDP)의 20% 가량으로 예상되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원유판매 수입이 줄면서 새로운 시설투자 여력도 낮아지고, 이는 자연스러운 공급조절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서다. 특히 중동과 러시아, 중남미의 주요 산유국들은 원유판매가 권력유지의 핵심 수단인 만큼 지금과 같은 저유가와 재정적자를 장기간 방치할 수 없는 처지다.
이런 가운데 현재 국제유가가 1985년 석유파동 당시와 유사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경제전문매체 CNBC은 1985년 국제유가가 69% 급락한 뒤 1987년까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105% 인상됐던 기록을 상기시켰다. 이를 지금에 대입한다면 지난해 6월부터 2015년 3월까지 61% 하락한 것을 감안할 경우 2년 안으로 다시 가격이 오를 것이란 추론이 가능하다.
yg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