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핵자금 사용 증거 공개 않는 통일부…왜?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개성공단에 투입된 자금이 북핵 개발에 쓰인 증거가 있다고 밝힌 후 파장이 거세게 일고 있다. 증거 자료가 있어도 공개할 수 없다는 발언에 야당을 중심으로 자료 공개 압박에 나섰다. 즉시 공개하라는 압박이다. 오는 1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자료 공개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13일 대변인 논평을 통해 “증거를 즉각 공개하라”며 홍 장관의 언급을 직접 거론했다. 이어 “불과 이틀 전에 그런 의혹은 있지만 확인된 부분은 없다는 통일부의 입장을 뒤집은 것”이라며 “이를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면 개성공단 자금이 북핵 개발에 전용됐다는 정부의 주장을 믿기 어렵게 만들 뿐”이라고 했다. 증거가 있다면 즉각 공개하라는 압박이다.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결정에 따라 철수 절차가 시작되는 11일 오전 철수 준비를 위해 출경하는 입주사 차량들이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개성으로 향하고 있다./ 안훈 기자 rosedale@heraldcorp.com

홍 장관은 지난 12일 언론 브리핑에서 “여러 관련 자료를 갖고 있다”며 “공개할 수 있는 자료였다면 벌써 공개했을 것이다. 필요한 범위 내에서 나중에 검토,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홍 장관의 발언은 개성공단 폐쇄를 강행하는 배경으로 정부가 내세운 북핵개발 자금 전용을 증명하는 자료가 있다는 말이다. 이는 개성공단 폐쇄에 따른 반발에 대응할 중요한 증거가 된다. 개성공단 폐쇄에 따른 반발이 거센 현 시점에서 정부 역시 자료 공개를 꺼릴 이유가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오는 15일 열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개성공단 자금이 WMD(weapons of mass destruction, 대량 파괴 무기)에 쓰인 증거를 두고 거센 공방이 예고된다. 홍 장관을 상대로 야당이 증거 공개를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북 정보 특성상 공개 범위에 한정이 있고, 또 직접 증거가 아닌 정황 증거만 있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으론, 홍 장관이 브리핑에서 “필요한 범위 내에서 나중에 (검토 여부를) 검토, 조치하겠다”고 여지를 남겨둔 대목도 관심사다. 공개를 전제로 사태 추이를 지켜보며 자료를 공개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되는 이유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