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셀 美 동아태차관보 “사드, 외교적 협상카드 아니다”
[헤럴드경제]방한 중인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26일 주한미군 배치 여부를 놓고 한미와 중국간 갈등을 빚고있는 사드(THAADㆍ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에 대해 “사드는 외교적 협상칩(bargaining chipㆍ협상카드)이 아니다”고 밝혔다.

러셀 차관보는 이날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의 안보리 결의 동의와 한ㆍ미간 사드 논의 연기에 어떤 연관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진행 중인 안보리의 외교적 트랙과 사드 배치 문제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러셀 차관보는 이날 외교부 청사에서 김홍균 외교부 차관보를 면담하고, 이어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임성남 1차관을 예방하고 청사를 떠나는 길이었다.

그는 “사드는 외교관들이 논의에서 사용하는 지렛대가 아니다”라면서 사드가 북한의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한미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적 시스템이라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아울러 “(사드) 논의 시기, 의사 결정과 관련된 조치들은 외교관들이 아닌 군(軍)에 있는 동료들과 정치 지도자들에 의해 행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북미 평화협정 문제와 관련해 “북한 핵 프로그램에 대한 미국의 입장 변화는 없다”며 “비핵화는 우리의 ‘우선순위 1번’”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마침내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진지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상의 국제 의무와 2005년 9ㆍ19 공동성명상 스스로 한 공약을 준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면, 당연히 9ㆍ19 공동성명에 제시된 보다 넓은 범위의 이슈들로 나아갈 문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9·19 공동성명은 ‘당사국들은 적절한 별도 포럼에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에 관한 협상을 가질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러셀 차관보는 27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 안보리 결의 이후 북핵ㆍ북한 문제 대응 방안을 놓고 중국 측과 추가적인 논의를 할 예정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