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유엔 제재 후 어떻게 나올까…3월 한미훈련, 5월 당대회 앞두고 무력도발 가능성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북한이 핵 및 미사일 관련 국제사회의 제재 움직임에 ‘강대강(强對强)’ 맞불대응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막발을 지속하고,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미사일 생산기지를 시찰하는 등 긴장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2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제1위원장이 주요 미사일 생산기지 가운데 하나인 태성기계공장을 시찰했다고 전했다. 김 제1위원장은 “(공장을 현대화하기로 한 결정이) 정당한 결심이었다는 것이 증명될 수 있도록 먼 앞날을 내다보면서 세계를 압도하겠다는 높은 목표를 제기하고 현대화 사업을 밀고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런 노동계급들과 함께라면 점령 못할 요새가 없다”라고도 했다. 

4차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이 임박한 시점에서 김 제1위원장이 군수공장을 찾아 ‘압도’, ‘점령’ 같은 표현을 늘어놓은 것은 북한이 국제사회 제재에 맞대응해 핵과 미사일 개발을 이어나가겠다는 엄포를 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앞서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에서 북한 인권에 대해 논의하는 회의를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유엔 안보리 제재와 함께 또 하나의 큰 대북압박 통로인 북한 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문제제기에 맞서 강력히 반발한 것이다.

이번 유엔 안보리 결의안에는 인권 문제가 처음으로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미국은 독자 대북제재법안을 통해 인권 탄압과 관련해서도 북한을 제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인권 측면에서 북한을 몰아세우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이날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 등을 통해 강력한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 도출을 강조하며 북한 인권 문제 개선을 위한 유엔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촉구할 예정이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전방위적인 압박에 강경한 태도를 이어가면서 추가 도발 등으로 한반도 긴장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앞서 북한은 2013년 3차 핵실험 이후에도 5월 중순 3일 연속 동해상에 단거리 미사일 발사체를 쏘면서 무력시위를 벌였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혹은 비무장지대(DMZ)에서 국지 도발을 강행할 우려도 배제할 수 없으며 최악의 경우 5차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추가 발사 등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은 2일에도 동물학연구사 박려은이 쓴 ‘천하역적의 오명-더러운 암박쥐’라는 글에서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중단 결정과 고고

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 배치 논의 등을 비판하며 박 대통령에 대해 ‘천하역적‘ 등 낯뜨거운 막말을 지속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