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엔 北제재] 한미일 vs 중러, 유엔 안보리서 사드 놓고 설전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한국, 미국, 일본이 중국, 러시아와 사드를 놓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설전을 벌였다.

한미일은 한반도 사드 배치가 이번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과 별개 사안이라고 주장했고, 중국과 러시아는 유엔의 대북제재는 찬성하지만 사드 한반도 배치는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은 유엔 안보리 전체회의에서 대북제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뒤 발언권을 얻어 바로 사드 반대 입장을 밝혔다. 대북제재에 찬성했으니 한반도 사드 배치 계획은 철회해달라는 강력한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류제이 유엔 주재 중국대사는 2일(현지시간) 오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 “중국은 한반도의 안정을 위해 비핵화를 계속 강조해 왔으며, 북한의 도발에 강하게 반대했다”며 “그러나 안보리 결의안이 북한의 핵무기 이슈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결의안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 되기를 바라며,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기구인 6자회담 체제를 지지한다”며 “한반도에 사드가 배치되는 데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한반도에서 긴장을 고조시키는 모든 행위에 반대한다”며 중국의 기존 입장을 재차 밝히며 “미사일방어시스템인 사드가 한반도에 배치되는 것을 반대한다”고 했다. 그는 사드가 한반도에 배치되면 중국 등 주변국의 전략적 안보 이해를 해치며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해치고, 정치적 해결을 추구하는 국제사회의 노력을 약화시킨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또한 한반도 사드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비탈리 추르킨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한반도 사드 배치는 국제 사회의 우려를 키울 뿐”이라며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북한의 활동을 이용해 공격용 무기, 사드 등 이 지역의 전력 증강을 정당화하려는 시도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한국과 미국은 대북제재 결의 안건과 사드 배치는 별개 사안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차 피력했다.

오준 유엔 주재 한국 대사는 “사드 배치 문제는 한미간에 논의 중인 방어전략의 일부”라면서 중국과 러시아의 주장을 일축했다.

서맨사 파워 미국 유엔대사는 “오늘 안보리가 북한 제재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은 북한의 도발을 극도의 위협으로 보기 때문”이라며 “사드 배치가 논의되는 이유도 북한의 위협 때문”이라고 맞받아쳤다.

일본은 한국과 미국의 사드 배치 논의를 환영한다며 지원 사격에 나섰다.

요시카와 모토히데 일본 유엔대사는 “한국은 일본에게 전략적 가치가 높은 나라”라며 “한국과 미국의 군사 협력은 지역 안정을 강화할 것이다. 우리는 이런 움직임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