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잡음 막아라” 與 공천 ‘비밀작전’ 가운데 경선일정 안갯속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4ㆍ13 총선 후보 선출을 위한 새누리당의 경선 일정이 차일피일 밀리는 가운데,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본격적인 ‘입단속’에 들어갔다. 경선 일정 지연으로 친박(親朴)계가 요구하는 전략공천(부적격자 배제 및 우선추천지역 확대) 가능성이 커지자, 이를 향한 비박(非朴)계의 볼멘소리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새누리당 공관위는 이르면 오는 12일 이후(3월 셋째 주)부터 실질적인 경선 일정을 시작할 전망이다. 이 위원장은 지난 2일 저녁 기자들과 만나 “(시중에 떠도는 9일 종로 경선 시작설은) 소설이자 희망사항일 뿐”이라며 “그렇게 빨리는 안 될 것 같다. 정상적으로 보면 늦어도 3월 셋째 주에는 (경선이) 시작돼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경선 일정이 이보다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도 당 일각에서는 나온다. 이 위원장 역시 이날 기자들에게 “(그러나) ‘되어야지’와 ‘된다’는 다른 이야기”라며 경선 일정 추가 지연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면서도 이 위원장은 “이야기해 줄 수 있는 것이 없다”며 “(부적격자 집중심사 내용 등이 알려지면) 일을 못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사실상 경선 일정 지연에 대한 공지만을 앞세운 채 ▷경선 대상지역 및 우선추천지역 선정 ▷공천 부적격자 심사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는 것이다. 정치권은 이 위원장의 이런 태도를 전략공천 확대를 둘러싼 친박 대 비박의 잡음을 차단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경선 일정이 촉박해질수록 친박계의 전략공천 명분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김무성 대표를 위시한 비박계가 ‘상향식 공천정신’에 따라 경선 지역을 확대하려면 넉넉한 일정을 확보해야만 한다.

결국 시간은 친박계의 편이다. 4ㆍ13 총선 선거구 획정안은 지난 2일에야 겨우 본회의를 통과한 상태다. 분구 또는 합구가 이뤄지는 지역에 대한 추가 공모와 면접 과정이 필요함을 감안하면, 경선 가능 시간은 열흘 남짓에 불과하다. 이런 가운데 이 위원장이 함구 상태로 진행중인 공천 부적격자 심사결과마저 ‘깜짝 공개’된다면 비박계는 휘둘릴 수밖에 없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친박계가 ‘일정이 밀려 어쩔 수 없다’며 전략공천을 주장하기 좋은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말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