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핵협상 후 달라진 이란처럼 북한도 변화하길”…김승호 주이란대사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지난 1월 이란 핵협상 타결 이후 테헤란 시의 호텔은 밀려드는 외국 정부 관계자, 기업인들로 방을 잡기 어려울 정도다.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한 이란의 개선되고 발전되는 모습을 북한 당국자들도 보고 깨닫는 게 있기를 바란다”

외교부 재외공관장회의 참석을 위해 서울에 머물고 있는 김승호 주이란대사는 16일 기자들을 만나 활기 넘치는 이란의 모습을 전하며, 국제제재를 자초해 지구촌 미아상태로 남아 있는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김 대사는 이란이 변화하게 된 이유, 변화할 수밖에 없었던 요인으로 크게 세가지를 꼽았다. 가장 큰 요인은 지난 1979년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의 국왕독재를 무너뜨린 뒤 유지되고 있는 민주적 선거다. 이는 김일성 일가 독재체제인 북한과 가장 대비되는 점이다. 김 대사는 “혁명 이후 지금까지 이란은 각각 총선과 대선을 7번 치렀고 국민들 역시 민주적 절차를 상당히 존중한다”며 “국민들의 정치적 의사가 정치권에 반영되는 통로가 살아 있다”고 말했다. 제재 이후 매년 20~30%씩 오르는 물가 등으로 삶이 어려워진 국민들이 불만을 선거로 표출하면서 정치권은 외국과 관계 개선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는 게 김 대사의 설명이다.


[사진=외교부]
[사진=외교부]

다른 하나는 핵협상에 참여하는 주요 관련국의 절박성이다. 이란은 국민들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핵협상을 성공시켜야 하는 절박성을 가졌다. 유럽에 대해 김 대사는 “시리아 문제로 유럽연합(EU)의 존립 자체가 위태한 것을 보듯, 유럽국가는 중동문제를 곧 자기들 문제로 본다”고 설명했다. 중국과 러시아 역시 어느 한 국가가 중동지역에서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견제하는 상황에서 이란이 핵무장국가가 되는 건 큰 부담이었다고 김 대사는 말했다. 결국 대화에 참가한 모든 나라가 핵문제를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는 절박성이 있었던 것이다.

김 대사는 핵에 대한 이란과 북한의 의지도 크게 다르다고 밝혔다. 이란은 원자력을 평화적으로 이용하려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미국 등 서방국가는 조사가 필요하다고 맞섰다. 김 대사는 이를 “핵무기가 아니라 국가의 자존심 싸움이었을지 모른다”고 분석했다. 반면 북한은 4차례나 핵실험을 하며 노골적으로 핵보유국 지위를 요구하고 있다.

그는 이란과 북한이 과거 ‘반미 연대’ 측면에서 감정적 교류는 남아 있을지 모르지만 실제 경제나 교역 측면에서 관계를 이어가지는 않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사는 “이란 관세청에서 매년 발표하는 통계를 보면 북한은 아예 빠져 있다”면서 “이란은 북한으로부터 사올 만한 물건이 없고 북한은 이란에서 물건을 사올 외화가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김 대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안(2270호)에 포함된 조선광업개발회사 이란 대표부의 실체나 실제 교역 여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 대사는 이란에 많은 나라와 기업들이 제재 이전 수준으로 관계 복원을 위해 뛰어들고 있다며 한국 기업의 적극적인 진출을 당부했다. 김 대사는 “이란은 석유와 가스 등 자원부국일 뿐 아니라 유구한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는 나라고 훌륭한 인적자원도 풍부해 개발의 여지가 많다”면서 “경제 외에도 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관계에서 양국 관계가 고루 발전할 수 있도록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