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팝콘정치] 정의당보다 새누리당이 SNS 잘 쓰는 이유, “그래야 130석 됩니다”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정치인에게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의 팔로워 수는 곧 권력이다. 더 많은 소통은 더 많은 공감을 낳고, 더 많은 공감은 다시 더 많은 ‘표’로 이어진다. 평균 연령이 55.5세(20대 국회 기준)에 이르는 국회의원 중 열에 아홉이 틈날 때마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이유다. 국회의원들의 SNS 사용률 역시 소속 정당의 진보ㆍ보수 성향보다는 ‘규모’와 더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손가락 하나로 불특정 다수와 만날 수 있게 된 세상, SNS의 정치학이다.


17일 국회 입법조사처의 ‘20대 총선 후보자 및 당선자의 SNS 이용 동향과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20대 총선에서 당선자 그룹의 1인당 트위터 팔로워 수는 평균 2만8312명인 반면, 낙선자를 포함한 전체 후보자 그룹의 1인당 트위터 팔로워 수는 단 1만4908명에 불과했다. 두 배에 가까운 차이다. 페이스북 페이지의 좋아요 및 계정 친구 수에서도 1500여명의 차이가 나타났다(당선자 그룹 1인당 평균 5002명, 전체 후보자 그룹 1인당 평균 3484명). ‘SNS를 지배하는 자가 민심도 얻을 수 있다’는 공식이 성립하는 셈이다.

재미있는 점은 홈페이지ㆍ트위터ㆍ페이스북ㆍ블로그ㆍ인스타그램ㆍ유튜브 등 6개 SNS 채널의 합계 사용률(정당별 각 채널 사용률 집계 후 합산)에서 보수정당인 새누리당이 진보정당인 정의당을 크게 앞질렀다는 것이다. 6개 SNS 채널의 합계 사용률은 더불어민주당이 291%로 가장 높았고, 새누리당이 282.7%로 2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국민의당(198.3%, 3위)과 정의당(174.6, 4위)이 그 뒤를 이었다. ‘진보 성향이 강할수록 SNS 민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통설을 뒤엎고, 정당의 규모(새누리당 탈당파 복당 전) 순서대로 통합 SNS 사용률이 나온 것이다. 앞서 언급된 ‘SNS 활용도와 당락의 방정식’과도 일치하는 결과다.


이에 따라 정의당이 최근 발생한 ‘메갈리아 논란’의 대응 과정에서 다소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인 것도 온라인 상에서 표출되는 지지자들의 목소리를 무디게 파악한 결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유향 입법조사처 사회문화조사실 과학방송통신팀장은 보고서에서 “매스미디어 시대의 시민이 정당이나 후보자의 동원에 수동적으로 대응했던 것에 비해, SNS 시대의 시민은 자발적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슈를 만들어낸다”며 “이들은 이슈의 유통과정에도 주체적ㆍ적극적으로 관여하며 정치에 참여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각 정당이 선호하는 SNS 채널의 차이도 뚜렷이 드러났다. 새누리당과 국민의당, 정의당은 블로그 사용률이 유독 도드라진 반면(사용률 각각 77.0%, 57.3%, 47.1%), 더민주는 트위터(73.1%)를 주로 사용했다(4당에서 모두 사용률 1위를 차지한 페이스북은 차별점이 없으므로 제외).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