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북한의 제 4차 핵실험 후 이번 5차 핵실험까지 박근혜 대통령은 연거퍼 대북 발언 수위를 높여왔다. 지난달 22일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는 “북한의 주요 인사들까지 탈북과 외국으로의 망명이 이어지는 등 심각한 균열 조짐을 보이면서 체제 동요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추가 도발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어 지난달 25일엔 중부전선 전방 부대를 찾은 자리에서 “북한이 1인 독재 하에 비상식적 의사결정 체제라는 점과 김정은의 성격이 예측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다.
지난달 29일엔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북한이 도발해 오면 그 자체가 북한 정권의 자멸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확고한 응징 태세를 유지하라”고 지시했다.
제 5차 핵실험 후에는 김정은의 정신상태까지 언급하며 “금년 들어서만 벌써 두 번째인 북한 핵실험은 국제사회에 대한 정면도전이라고밖에 볼 수 없으며 이제 우리와 국제사회의 인내도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이와함께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자세로 북한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국내불순세력이나 사회불안 조성자들에 대한 철저한 감시 등 국민들의 안전을 책임질 수 있도록 하기 바란다”고 했다.
이같은 박 대통령의 강경 발언은 북핵에 대한 타협없는 대응을 강조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대북 압박의 메시지를 전하는 한편, 사드 배치 등으로 인한 국론 분열을 막기 위한 의도라는 해석이다. 특히 대내적으로는 일부 사드 배치 반대 여론이나 외교ㆍ교류를 통한 대북관계 해법을 주장하는 야권을 경계하고 보수층의 결집을 이뤄내 임기 후반기 국정 운영 동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도로도 분석된다.
su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