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명연장’ 정신팔려 ‘국정수습’ 내팽개친 새누리, 여야정협의체 ‘지뢰밭’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새누리당 친박(親박근혜)계가 비박(非박근혜)계로의 당권 이동을 막기 위해 정진석 원내대표를 끌어내리면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국정수습에도 빨간 불이 켜졌다. 여야의 유일한 대화 창구였던 정 원내대표의 사퇴로 여야정협의체 구성 및 의제 논의가 꽉 막혔다. 당내 다수인 친박계가 그동안 여야정협의체에 보인 부정적 입장을 고려하면 새 원내대표 선출 이후 흐름도 가늠키가 어렵다. 정국 주도권이 야권에 넘어간 가운데, 당권을 갱신한 친박계가 황교안 체제와 ‘편향적 결속’을 굳히며 야권과 사사건건 대립할 경우 더 큰 혼돈이 야기될 수 있다.


[사진=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왼쪽), 정진석 원내대표(가운데) 등이 지난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 원내대표의 사퇴 배경에는 친박계의 압박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 원내대표가 밝힌 표면적 사퇴 이유는 “집권 여당의 원내대표로서 탄핵안 가결의 책임을 지겠다”는 것이지만, 친박계 원내부대표단이 일괄 사퇴 움직임을 보이는 등 공세가 가시화하자 거취 결단을 서둘렀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친박계 한 핵심 의원은 이날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정 원내대표가 이정현 대표보다 늦게 사퇴하면 ‘당 대표 대행’ 권한을 쥐게 된다”며 “정 원내대표가 비박계와 재창당 작업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탄핵안 자율투표 결정에 대한 반감도 많았다”고 했다.

친박계가 수적 우위를 앞세워 ‘호위대(새 원내지도부)’ 구성 및 수명 연장 작업에 들어간 셈이다. 이런 가운데 국정 공백을 막기 위한 여야정협의체는 시동도 걸기 전에 멈춰 섰다. 정 원내대표와 이 대표(21일 사퇴 예정)의 동반 사퇴로 협의체 참석 대상이 불명확해졌을 뿐더러, 각 당 정책위의장과 경제ㆍ사회부총리가 참여하기로 한 실무협의체 역시 김광림 정책위의장의 빈 자리 탓에 즉시 가동이 어려워졌다. 김 의장은 이에 대해 “새 원내지도부가 들어설 때까지는 정 원내대표가 공백기가 생기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또 7일 이내에 새 원내대표를 뽑을 예정이니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새 원내지도부가 수립되더라도 여야정협의체는 진통을 거듭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내 세력구도상 친박계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이 선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친박계와 긴밀히 소통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 대표가 “그(야당) 사람들 얘기는 곧바로 쓰레기통으로 갈 얘기다. 여야정협의체는 하루를 넘기기 어려운 내용이므로 믿지도 기대하지도 않는다”고 발언(12일 기자회견)한 것을 고려하면, 향후 당권을 쥔 친박계가 논의 자체를 뒤집을 수도 있다. 야권 역시 “친박계 지도부와는 대화를 할 수 없다”고 공언했다. 정국이 협치 대신 대립 일변도로 흐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지점이다.

친박계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방패막이’를 자처하며 헌법재판소의 탄핵안 심리가 끝날 때까지 야권 주도의 정국 전환을 지연시킬 가능성도 있다. 실제 새누리당은 전날 여야 3당 회동에서도 “12월 임시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황 대행은 빼자”고 주장했다. “대외적 이미지와 불필요한 정치 쟁점화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것이 이유다. 다만, 야권과의 논의에 전향적인 비박계가 수적 열세를 이겨내고 원내대표를 배출하면 상황이 반전할 수 있다. 친박계와 비박계가 각각 50~60명 대 40~50명의 세력을 보유한 가운데, 중립성향 의원 20~30명이 원내대표 경선에서 비박계의 손을 들어주는 경우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