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빈집활용 도시재생’ 본격 시동…서울시, 민간사업자 4곳 선정
정릉동·연희동 등 빈집 8곳 대상
주거취약층에 시세 80%이하 공급

서울시가 오랫동안 방치된 빈집을 매입, 민간사업자에게 저리로 임차해 임대주택(사회주택)을 건립·공급하는 ‘빈집 활용 도시재생 프로젝트’가 본격화한다.

서울시는 서울도시주택공사(SH공사)와 함께 ‘빈집활용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1차 사업자를 공모해 4개 민간사업자를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1차 사업은 정릉동, 동소문동7가, 연희동, 부암동 등의 저층 주거지에서 8개 빈집이 대상이다. 이번에 선정된 민간사업자는 시로부터 부지를 빌려 빈집을 개조, 사회주택을 건립한 다음, 청년·신혼부부 등 주거 취약계층에 최장 10년간 시세의 80% 이하로 공급하게 된다.

지난 5월31일부터 7월15일까지 실시한 공모에는 총 11개 업체가 지원했으며, 이 가운데 ▷소통이 있어 행복한 주택만들기(성북구 정릉동·종로구 창신동) ▷마을과 집(성북구 동소문동7가·은평구 갈현동) ▷민달팽이(서대문구 연희동·강북구 미아동) ▷한솔아이키움(종로구 부암동·강북구 미아동) 등이다.

4곳은 건축 행정 절차 등 준비 과정을 거쳐 내년에 착공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프로젝트로 주거환경 개선, 빈집 우범지대화 방지, 주거 취약계층의 복지 강화, 지역재생을 통한 저층주거지 활력 등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장기간 방치된 빈집 중 대학가 인근 등 대학생 수요가 풍부하고 교통 요지로서 사회초년생 입주 수요가 있는 부지에 대해선 빈집활용 사회주택으로 우선 공급할 에정이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민관이 협력하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모델”이라며 “노후 주거지 재생과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둬 지역사회에 활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