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타당성 신청서 11월 제출
정부가 이더리움 등 글로벌 블록체인 기술에 맞설 수 있는 토종 핵심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500억원 규모의 블록체인 중장기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신청서를 오는 11월 제출할 예정이다.
중장기 기술개발사업의 최대 목표는 세계적인 블록체인 기술 수준에 대항할 수 있는 국내만의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신청서는 11월 1일자로 제출할 방침으로 현재 우리나라에는 이더리움, 이오스, 하이퍼레저 패브릭 등과 경쟁할만한 기술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들 기술과 겨룰 수 있는 코어 기술을 개발하려는 것”이라며 “플랫폼(암호화폐) 자체를 만들겠다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컨트랙트(계약) 등 이들이 보유한 블록체인 기능에 버금가는 기술을 연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최종 블록체인 성능 목표치로 10만TPS를 설정했다. TPS는 초당 처리 속도로 블록체인의 확장성과 안전성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된다.
그동안 블록체인 기술은 기존 인터넷과 확실히 차별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느린 네트워크 처리 속도 등으로 확장성이 떨어지고 시스템이 불안정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최근 카카오 블록체인 기업 그라운드X가 선보인 메인넷 클레이튼은 최대 4000TPS를 구현했는데, 정부가 추진하는 10만TPS는 이보다 25배 빠른 속도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향후 블록체인을 IoT(사물인터넷)와 접목시킬 경우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데 이를 받쳐줄 수 있는 네트워크 처리 성능은 필수”라고 설명했다.
예비타당성 신청서가 제출되면 과기정통부 내에서 1차 평가를 거치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평가를 통해 최종 결과는 내년 5월 전 나올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신청으로 지난해 말 예비타당성 탈락 이후 본격적인 재도전에 나서게 됐다.
최초 과기정통부는 유통·문서·투표·의료·기금·데이터거래·팩토리(제조) 등 7개 분야 실증 서비스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이 내놓은 블록체인 중장기기술개발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7대 실증 서비스를 구축하려는 계획에서 구체성이 미흡하고 관련 부처와의 협업도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기술수요조사서 중 최종 선정된 데이터거래체인과 관련된 내용이 없고 추가된 사유가 불명확하다”며 “팩토리 체인 역시 핵심 유관 기관의 참여 불가로 보류된 에너지 대신 선정됐는데 신규로 추가된 절차가 타당하지 못하다”고 밝혔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노선을 변경해 실증 서비스 기술 개발 중심에서 블록체인 원천 핵심 기술 확보로 방향을 재설정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전체 예산의 20~30%만 실증 서비스를 발굴하는 데 배분하고 나머지는 모두 블록체인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곳에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태일 기자/killpas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