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복절 기술독립]추격자서 선도자로…국산 기술, 미래차 시장 이끈다
- 1968년 코티나 국산화율 21%…50년 지난 현재 95%로 ‘껑충’
- 수소차 국산화율은 99%…2015년 기준 관련 특허 391개 달해
- 일본ㆍ독일 등 견제 속 자율주행ㆍ모빌리티 기술 확보에 총력
- 2030년 수소차 70만대 생산 목표…완전자율주행 상용화 기대
오로라의 첨단 자율주행시스템인 ‘오로라 드라이버(Aurora Driver)’가 장착된 현대차의 수소 전기차 ‘넥쏘’. [현대차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현재 기준 수소연료전지 관련 부품의 국산화율은 99%에 달한다. 100% 국산화를 목표로 개발 중이며, 자율주행 기술과 함께 전 세계 미래차 시장을 선도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박순찬 현대차 연료전지사업실장)

자동차 산업의 불모지였던 현대자동차가 미국 포드사와 합작으로 국산화율 21%의 ‘코티나’ 승용차를 1968년 생산한 이후 50여년, 현대차는 독자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국산화율 95%를 달성했다.

국산화를 통한 기술 독립은 멈추지 않는다. 수소차와 자율주행이 핵심이다. 내연기관에서 미래차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시기, 글로벌 주도권을 잡기 위한 보이지 않는 전쟁이 격화하고 있다.

글로벌 자동차 강국들의 견제는 여전하다. 일본은 수소경제의 경쟁국인 한국과 중국을 배제한 채 미국·EU와 기술 동맹을 추진했다. 내연기관의 선두주자인 미국과 독일은 파트너십 전략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 중이다.

국내 완성차 업계는 개의치 않고 있다. 한국과 중국을 배제한 채 수소사회 실현이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 전 세계에서 수소차 기술을 가장 많이 보유한 현대차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출범한 ‘수소위원회’를 이끌며 이곳에 포함된 민간 기업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파급력을 넓혀 나가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보유한 수소차 관련 특허 건수 가운데 현대차는 절대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특허 관련 정보업체 E4Tech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현대차가 보유한 수소차 관련 특허는 391개다. 친환경차 기술을 다수 보유한 토요타를 크게 앞선 수치다.

수소차 양산은 일본이 처음이었다. 하지만 상황은 달라졌다. 본격적인 대규모 증설이 이뤄지는 2030년에는 국내 완성차 업계의 약진이 예상된다. 기술 표준화를 토대로 각국의 수소기업들과 협력관계 구축이 순조롭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이 지난 6월 일본 나가노현(縣) 가루이자와에서 열린 G20 에너지환경장관회의와 연계한 수소위원회 만찬에서 공동회장 자격으로 환영사를 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수소차 양산에 대한 기대감은 상용차 부문에서 먼저 감지된다. 현대차는 지난해 프랑스 가스회사 ‘에어리퀴드’와 다국적 에너지기업인 ‘엔지’와 수소전기차 5000대를 수출하는 MOU를 맺었다. 스위스 H2 에너지에는 약 1000대의 수소 트럭을 공급하기로 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수소화 사회 진입은 대형 트럭과 버스 등 대부분의 대형 운송수단이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제조사 입장에선 기술력 보유와 함께 원가절감을 얼마나 이룰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자율주행과 관련된 미래차 기술 확보에서도 한국 기술의 진보가 두드러진다. 특히 현대차는 첫 자율주행 모델인 ‘투싼ix’를 선보인 2010년 이후 커넥티드 자동차 위주의 자율주행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2015년에는 미국 네바다주(州)에서 자율주행 면허를 획득했다. 이후 2016년에 국내 자율주행 임시운행 허가를 받았다. 2017년에는 지능형안전기술센터를, 지난해 자율주행 4단계 주행에 성공했다.

시계는 2030년에 맞춰져 있다. 정부·지자체와 적극적인 협업을 진행하는 한편 자율주행 스타트업인 ‘오로라’와 ‘메타웨이브’, ‘퍼셉티브 오토마타’ 등 외부기업 간 ‘오픈 이노베이션’에 집중하는 이유다.

기술 독립은 자동차에서 도시의 구조적인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인천 영종도에서 현대오토에버와 함께 AI(인공지능) 기반의 ‘MoD(Mobility on Demand) 서비스’를 도입한 데 이어 경기도 화성에 조성되는 ‘자율주행실증도시(K시티)’에서 삼성전자·KT와 5G 자율주행을 현실화한 사례가 스마트시티로의 큰 그림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자료=E4Tech, 이베스트투자증권]
[자료=현대·기아차, 하나금융투자]

현대차그룹은 2030년 약 70만대의 연료전지(Fuel cell) 스텍을 생산할 계획이다. 약 50만대의 수소차를 현대차와 기아차가, 20만대를 기타 운송수단에서 선점한다는 청사진이다. 수소연료전지의 원가 절감은 국내 기술의 글로벌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폴크스바겐과 아우디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수소차 기술 파트너십 요청이 들어올 정도로 기술 독립을 이룬 상태”라며 “궁극적인 목표는 수소차와 자율주행을 통한 모빌리티, 즉 자동차 공유경제의 주도권 확보”라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