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SS 화재' LG화학·삼성SDI, 자체 안전강화 대책…신뢰회복 총력
LG화학, 2017년산 난징 배터리 전량교체 결정
‘모듈에 물 주입해 진압’ 소화시스템 필수적용
삼성SDI도 자체 부담해 특수 소화시스템 적용
LG화학 익산공장 ESS 시설. [LG화학 제공]

[헤럴드경제 김현일 기자] LG화학과 삼성SDI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로 고강도 종합 안전대책을 발표하며 신뢰 회복에 나섰다.

6일 LG화학은 'ESS산업 신뢰회복 위한 고강도 종합 안전대책'을 통해 2017년 중국 난징(南京)공장에서 생산한 ESS용 배터리 전량을 교체하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특수 소화시스템도 적용할 계획임을 밝혔다.

LG화학에 따르면 2017년산 난징공장 ESS 배터리가 적용된 국내 시설은 250여곳이다. 해당 시설의 ESS 배터리 교체로 발생하는 비용은 LG화학이 전액 부담할 방침이다.

또 국내 400여곳에 특수 소화시스템도 순차적으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올해 새로 설치되는 국내 모든 시설에도 특수 소화시스템이 필수 적용된다.

LG화학이 자체 개발한 특수 소화시스템은 이미 올해 초 일부 ESS 시설에 적용돼 시범운영 중이다. 해당 시스템은 ESS 내 배터리 랙 상단에 연기 감지기를 설치하고, 화재 감지시 해당 배터리 모듈에 직접 물을 주입해 진압하는 방식이다.

LG화학 관계자는 "화재가 발생한 배터리 모듈에 물을 주입해 온도를 떨어뜨리고, 주변 배터리 셀로 전달되는 열에너지를 낮추는 냉각 방식이다"며 "화재 확산을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소화시스템은 최근 국제인증기관인 UL(Under Writers Laboratories)의 테스트 기준을 만족했다.

이밖에 원격으로 배터리 진단, 분석, 예측을 할 수 있는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도 실시할 예정이다. LG화학은 “이번 고강도 안전대책과 관련해 약 2000~3000억원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삼성SDI의 ESS 시설. [삼성SDI 제공]

앞서 삼성SDI도 작년 10월 자체 개발한 특수 소화시스템 적용 방침을 밝히며 고객들의 불안을 달랬다.

삼성SDI는 해당 소화시스템을 신규 판매되는 ESS 시스템에 전면 도입하고, 기존에 설치·운영 중인 국내 모든 시설에까지 삼성SDI가 자체 부담해 적용하기로 했다. 삼성SDI의 특수 소화시스템 역시 UL의 테스트 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ESS 화재의 주원인으로 지목된 외부 유입 고전압, 고전류를 차단하고 이상 발생 때 시스템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 등을 설치한 상태다. 배터리 운송이나 취급 과정에서 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와 배터리 3단계 안전장치 설치에도 나섰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