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잉크도 마르기 전 딴소리만”…전공의·의대생 ‘국시 연장없다’는 정부에 한탄
올해 국시 응시생, 전체인원 14%
정부 ‘추가접수도 없다’ 원칙고수
대전협 “국시피해땐 다시 집단행동”

8일 오전 7시를 기점으로 일부 전공의가 업무에 복귀한 가운데, 정부가 의사국가고시(국시) 추가 접수를 하지 않을 방침을 밝히면서, 향후 전공의와 의대생의 집단 행동 추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달 7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의대생들이 국시를 치르지 못하는 등 피해가 발생한다면 단체 행동 수위를 높일 것임을 시사했고, 의대생들은 여전히 ‘합의 직후마다 말을 바꾸는’ 정부를 향한 불신을 보였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올해 국시 실기 시험에 응시하는 자는 446명으로, 이는 올해 국시 실기 시험을 치러야 하는 3172명의 14%가량에 해당한다. 나머지 86%에 달하는 2726명은 올해 국시에 응시하지 않기로 했다.

정부는 ‘국시 재신청 연장은 없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31일과 이달 4일 한 차례씩 국시 응시원서 접수 기간을 연장했다. 이후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이달 7일 “재신청을 다시 연장하거나 추가 접수는 없다”며 “그 이상은 법과 원칙에 대한 문제다. 이는 국가 시험은 국시뿐 아니라 수 많은 직종과 자격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공의와 의대생은 향후 국시 강행 시 발생할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동시에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의 일방적 합의문 서명, 합의 후 말 바꾸기 식 정부 기조에 대한 불만을 표했다.

서울 소재 의대 본과 3학년인 A(23)씨는 이날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병원 내에서 이뤄지는 과정을 보면 교과서 중심이 아닌 위 연차가 아래 연차와 함께 해보며 알려 주는 구조가 많다”며 “지금 4학년들이 국시를 못 보고 유급돼 내년에 (본과 4학년이)2배수가 된다면 이러한 실습 과정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최 회장과 합의를 한 직후, 공공의대를 예정대로 추진할 거란 말을 하기도 하는 등 저희가 모든 것을 믿고 다시 학업에 돌아갈 수 있는 행동을 보인 것 같지 않다”며 “정부에서 학생들이 다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안 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도권 소재 대학병원 전공의인 B(28)씨도 “(단체 행동에)참여한 날부터 계속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말을 바꾸고, ‘뭘 추진한다’ 이런 얘기가 계속 나오고 있는 거 보면 합의안이 무슨 의미가 있나 싶다”며 “젊은 의사들을 다 총알받이로 내세운 다음에 의협에서 뒤로 빠지니까, 학생들은 ‘낙동강 오리알’이 돼 버렸다”고 한탄했다.

이어 “이제 과정이 1년씩 다 뒤로 미뤄질 학생들이 제일 불쌍하다”며 “아무리 책에서 글자를 읽어 봤자 그 지식을 사용할 줄 모르니 빨리 임상 경험을 쌓으려고 수련을 받는 건데, 그게 1년씩 다 미뤄지면 임상 경험을 늘어난 (학생)수만큼 나눠야 한다. 3~4학년들은 배움의 기회가 줄어드는 것이 제일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날 오전 경희대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 전공의들은 전원 복귀를 마쳤다.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8개 병원(대전성모병원·부천성모병원·서울성모병원·성빈센트병원·여의도성모병원·은평성모병원·의정부성모병원·인천성모병원) 전공의들도 이날 일제히 복귀를 마쳤다. 고려대의료원 산하 구로병원·안산병원·안암병원 전공의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마치고 9일 오전 7시에 공식 복귀할 예정이다.

박상현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