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별기고] 한국농업, ‘디지털농업’으로 전환해야

인류는 현재 지금까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재난 ‘위드(With) 코로나’ 시대를 살고 있다. 코로나19가 우리 일상을 지배한 지 벌써 1년이 훌쩍 지났다. 실직이 증가하고 자영업자의 수입이 감소하는 등 경제 전반에 적신호가 켜진 지 오래다. 또한 농업·농촌·농가 피해도 나날이 늘고 있다.

정부는 지난 3월 2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외국인 근로자 근로 여건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경기도 포천의 비닐하우스 숙소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사망하자 정부는 올해부터 비닐하우스 내 가설 건축물을 숙소로 제공하는 농가엔 고용 허가를 내주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농가가 주거환경 개선을 하도록 6개월간의 유예 기간을 뒀다. 그러나 농업인으로서는 코로나19로 외국인 근로자 유입이 사실상 막혀 있는 데다 숙소 문제까지 불거져 한숨 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그동안 외국인 계절근로자제도를 통해 부족한 농촌 일손을 해결해왔지만 위드코로나 시대에 외국인 계절근로자들의 입국이 제한되면서 농촌 일손 수급마저 비상이 걸렸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태를 해결할 방책은 없을까. 농작물의 생산량을 높이고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디지털농업의 혁신인 ‘스마트팜(Smart Farm·지능형 농장)’을 확대 보급하는 것이 해결책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스마트팜 농업 열풍이 불고 있다. 꼭 필요한 첨단 농업기술이라고 인정하는 학자도 있고, 스마트팜이 우리 농업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대기업의 농업 진출 통로가 될지 모른다고 우려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스마트팜이 농업의 큰 변화를 가져온 혁신적인 시스템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스마트팜은 농장에 설치된 수분 센서, 기상 센서에서 오는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양분과 수분을 작물에 공급한다. 온도가 높으면 환기를 시키고, 수분이 부족하면 영양액 시스템에서 영양분과 물을 공급하고, 병해충이 발생하면 방제로봇이 약제를 살포한다. 이 모든 것은 컴퓨터로 제어된다. 농업인은 농장을 떠나서 먼 곳에서도 스마트폰으로 농장의 운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스마트팜은 농장관리에 들어가는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며, 수많은 센서가 농부의 눈이 되고 자동화 농기계가 농부의 손발이 된다. 무인농장이 꿈은 아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디지털농업 재배기술의 혁신은 크게 다음 세 가지 영역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스마트 센싱과 모니터링은 기후·환경·생육 정보를 정밀하고 자동화된 방법으로 측정·수집·기록하는 것이고, 둘째, 스마트 분석은 수집된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축적·가공·분석해 사람의 지능과 지혜·경험을 능가하는 정밀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셋째, 스마트 농기계를 활용해 농작업을 수행하는 영역은 잡초 제거·착유·선별,포장 등과 같이 농작업자의 노동력에 의존하던 부분부터 점차 지능화 농업로봇으로 대체한다.

따라서 이제 미래 농업은 ‘곱하기 농업’으로서 융·복합 및 초정밀화로 대전환이 이뤄져야 하며, 디지털농업으로 완전한 변신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 개인 경험 중심 농업에서 데이터 중심의 초정밀 농업으로 대전환해야 한다.

박상도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