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서 이인제 꺾으며 파란·돌풍 일으킨 2002 노무현도 재집권
탄탄한 인물경쟁력 2012년 박근혜 재집권 성공 사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행정학회 주최 대통령선거 후보자 초청 토론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2017년 대선이냐, 2012년 대선이냐.
제 20대 대통령 선거일(3월 9일)을 2개월 앞두고 여야 후보간 경쟁 구도가 직전 치러졌던 두 차례 대선 중 하나와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사상 첫 전(前) 대통령의 탄핵 속에 치러진 2017년 대선은 민주화 이후 유례 없는 다자대결 구도로 치러졌고, 특히 보수 야권이 크게 갈라져 현재의 여당과 대결했다. 문재인 당시 후보를 포함해 상위 3명의 후보 득표율은 41:24:21이었다. 반면 2012년 대선은 사실상 완전한 보수-진보 1대1 대결 구도였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51.6%로 당선됐고, 문재인 당시 후보가 48.0%를 얻었다.
▶원래는 2007년처럼 기울었던 판세=이번 대선은 원래 보수야권에 의한 ‘정권교체’로 기울었던 판세로 출발했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지난 2007년 대선을 앞두고는 한 때 정권심판여론이 70%를 웃돌 정도로 높았고, 결국 당시 이명박 후보와 정동영 후보의 득표율은 49대 26으로 기록했다. 이회창 후보(득표율 15%)가 독자 출마해 보수 진영이 갈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보수 야당으로의 정권교체가 이뤄졌다. 이명박,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을 합산한 보수 후보의 득표율은 무려 64%였다.
문재인 정부 4년차였던 지난해엔 한 때 정권교체여론이 60%를 넘나들 정도였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최종경선에서 승리한 직후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도 계속 벌어지는 양상이었다. 그러나 국민의힘 내의 갈등과 내홍이 이어지고 윤 후보의 언행이 잇따라 논란을 빚으면서 최근 이 후보가 윤 후보를 역전하는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정권교체 여론 자체도 줄어든다. 대신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약진 흐름이 거세다.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전국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대선 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이 후보는 36%, 윤 후보는 26%의 지지율을 보였다. 안 후보는 15%로, 이번 대선 국면에서 실시된 여론조사 가운데 지지율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5%, 새로운물결 김동연 후보는 3%를 각각 기록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대선 판세가 양자대결 구도에서 급속하게 3강 구도로 재편되고 있는 추세는 여러 여론조사에서 확인된다. 이에 따라 야권의 단일화 여부에 따라 최종 대선 구도가 2012년의 양자대결이 되거나 2017년의 3강 다자대결 구도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이준석 대표와 지난 6일 저녁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손을 맞잡고 있다. [이상섭 기자] |
▶정권교체여론 vs 후보자질론= 여전히 정권교체 여론이 정권연장 여론보다 높은 주요 이유는 문재인 정부가 실시한 부동산 정책 실패에 따른 실망감이 가장 큰 요인으로 해석된다. 여야 주요 대선 후보들의 차기정부 핵심 공약 가운데 가장 비중있게 다뤄지는 것 역시 부동산 공약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도 문재인 정부의 주택시장 관리 실패 문제점을 지적하며 전세사기와 기획부동산 근절을 내세우고 있으며,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역시 250만호 공급 계획 등을 앞세우며 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방점을 찍고 있다.
이외에도 문재인 정부는 급격한 최저임금 폭 상승을 주도하면서 도리어 청장년층의 일자리들이 줄어드는 결과로 이어지게 만들었다는 비판과 함께 대표 경제 정책으로 내세웠던 ‘소득주도성장’ 역시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임기 초 대표적 국정 방향이었던 ‘남북관계’ 역시 보수 정부와 비교해 별달리 진전된 결과물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여당 후보의 취약성 역시 안정적 정권 재연장 가능성을 낙관키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여배우 스캔들 문제, 가족간 불화 문제, 대장동 사안 등은 이 후보에 대한 ‘비호감도’를 높인 주요 요인들로 꼽힌다.
윤 후보 역시 문재인 정부와 맞섰던 대표 인사로 제1야당의 대선 후보가 되는 파란을 연출 했으나 대선 후보로 당선된 이후 각종 실언과 구설수, 처가 및 배우자 문제 등이 얽히면서 지지율 하락세가 해가 바뀌면서 깊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윤 후보는 선거를 60여일 앞둔 시점에 선거대책위원회를 전면 해산하고 다시 꾸리는 등 내홍을 겪고 있다. 이준석 당대표가 의원총회에 참석해 의원들을 대상으로 연설을 하고 윤 후보와의 극적인 갈등 봉합으로 지지율 반등에 나서면서 향후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기에 안 후보의 상승세가 더해지며 3강구도가 고착된다면, 향후 대선 경쟁은 보수야권의 단일화가 최대 이슈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정권심판론은 역대 대선마다 주요하게 작용했지만 대선이 임박할수록 그 힘을 잃었다”며 “정권심판론이 늘거나 줄어든 것에 더해 둘 사이의 격차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