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2025년 100만대”…배터리 공장 확충
美 연방·지방 정부 세제 혜택 등 전폭 지원도
현대차그룹, 차별적 보조금에 구체 계획 못 밝혀
메리 바라 미국 제너럴모터스(GM) 최고경영자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시간주 랜싱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GM은 본거지인 미시간주에 70억 달러(8조3755억원)를 투자해 전기 픽업트럭과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만들 계획이다. 이는 GM 창사이래 단일 투자로는 가장 큰 규모다. 이번 투자에는 한국기업 LG에너지솔류션도 참여했다. [연합] |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등 미국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기차 생산 증대 경쟁에 불이 붙었다.
현대자동차그룹 역시 연간 생산 목표를 170만대로 높였지만, 미국 보조금 정책이 여전히 안개 속을 걷고 있는 데다 노조의 반발이 여전해 구체적인 증설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책임자(CEO)는 2021년도 실적 발표를 통해 “머스탱 마하-E, F150 라이트닝 등 전기차 사전 판매 수요가 27만대를 넘어설 정도로 수요가 충분한 만큼 생산량을 빠르게 늘리는 것이 올해 목표”라면서 “2023년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최소 60만대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공언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약 2배 가량 늘어난 수치다.
포드는 F-150라이트닝을 시작으로 2025년까지 2세대 풀사이즈 전기 픽업트럭을 잇달아 선보일 계획이다. 동시에 테네시 주와 켄터키 주에 3개의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확보해 연간 100만대 이상의 전기차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팔리 CEO는 “2030년까지 포드 자동차 제품군의 최소 40% 이상을 전기차가 차지할 것”이라며 “현재 테슬라가 선도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 구도를 뒤바꾸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자신했다.
이보다 앞서 GM 역시 2025년까지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에 총 350억 달러(약 42조원)를 투자해 100만대의 전기차 제조 생산 능력을 갖추겠다는 목표를 공개했다.
이를 위해 본거지인 미시간 주에 70억 달러(약 8조 3900억원)를 투자해 배터리셀과 전기 픽업트럭 생산 능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GM은 배터리 생산 능력을 확충하기 위해 LG에너지솔루션과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얼티엄셀즈’를 통해 랜싱에 26억 달러(약 3조원)를 투입해 새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이곳은 양사의 세 번째 합작 공장으로 두 회사가 투자비용을 각각 절반씩 분담한다. 구체적인 부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네 번째 배터리 공장 설립 계획도 밝혔다.
이어 40억 달러(약 4조8000억원)를 투입해 디트로이트 오리온 타운십 공장을 전기 픽업트럭 공장으로 전환한다는 전략도 제시했다. 2024년부터 쉐보레 실버라도 등 신형 전기트럭 60만대가 이곳에서 생산된다.
현대차 울산공장 아이오닉5 생산라인에서 작업자가 막바지 검수를 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자국의 주요 완성차 업체가 전기차 생산 능력을 확대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GM의 투자 발표 직후 “역사적인 미국 제조업 복귀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미시간 주 경제발전위원회는 이번 투자와 관련 GM에 지원금 8억2400만 달러(1조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약속했다.
더욱이 미국 의회에는 미국 내 노조가 있는 공장에서 생산한 전기차에만 4500달러(529만원)의 추가 세액 공제 혜택을 주는 법안이 제출돼 있다. 사실상 포드와 GM, 스텔란티스 등 노조가 막강한 ‘빅3’ 완성차 업체에만 추가 보조금을 지급하겠다는 의미다.
미국 정계의 이런 보호무역 조치에도 현대차그룹은 경쟁 기업보다 앞서 전기차 생산 증대를 선언했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증산 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의 전기차 생산 목표치를 2026년 100만대에서 170만대로 늘렸다”고 밝혔다. 다만 그 핵심이 되는 미국 공장 증설 계획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2025년까지 미국에 74억 달러(약 8조원)를 투자하겠다고 공언했다. 새 공장을 짓거나 기존 공장을 증설하는 등 다양한 옵션을 고려하고 있지만, 미 의회의 추가 보조금 정책이 미칠 영향을 아직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최근 현대차와 기아 모두 강성 성향의 노조 집행부가 들어선 것도 변수다. 양 집행부는 모두 “전기차 전환에도 불구하고 조합원의 고용을 회사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최대 실적에 걸맞은 요구안을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에서 주장할 것”이라고 예고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미국 완성차 업체는 정부와 노조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생산량을 늘려나가는 동안 현대차그룹이 증설 및 전기차 전환계획을 확정하지 못할 경우 전기차 시장 주도권을 내줄 수 있다”면서 “국내외 소비자에 대한 제품 인도는 물론 일본 전기차 시장 재진출에도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why37@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