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정부 강제동원 해법… 하태경 “김대중식 대일 햇볕정책”
“한국, 지난해 일본 국력 경쟁에서 눌러 6위”
박진 외교부 장관이 6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2018년 대법원의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국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하 재단)이 조성한 재원으로 판결금을 대신 변제하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윤석열 정부가 제시한 강제징용 피해자 해법에 대해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대일 햇볕정책’이라고 호평했다. 하 의원은 ‘국민감정과는 결이 다르다’고 인정하면서도 국익 관점의 결단이었다고 설명했다. 전날 정부는 국내 재단이 모금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판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고 공식화한 바 있다.

하 의원은 7일 오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이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 저는 긍정적으로 보는 게 일종의 김대중식 대일 햇볕정책이라고 본다”며 “대북 햇볕정책을 추진할 때 저도 비판은 했지만 총론은 지지를 했었다. 이유는 (우리가) 체제경쟁에서 이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 의원은 “(남한이) 북한 체제에 적화될 이유도 없고 그리고 대북 햇볕정책을 계속 추진하다 보면 핵 문제 해법도 일단 수교를 하고 장기적으로 핵무장 해제 하는 것이다. 비핵화는 장기적 목표로”라며 “대일관계에서도 햇볕정책적 접근을 하면 일단 관계개선을 하고 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 일본의 잘못된 역사인식을 바로잡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 의원은 “지금 국제정세가 우리로 하여금 중국하고도 싸우고 일본하고도 싸우고 이렇게 한가한 시기가 아니다. 그러니까 일종의 ‘탈중용일’ 해야 되는 상황”이라며 “우리가 한일 국력경쟁에서 이겼다. 작년에 한국의 경제 군사 사회 문화 다 합친 종합국력이 6등이다. 프랑스도 이겼다. 일본은 8등”이라고 강조했다.

하 의원은 “대북 햇볕정책을 할 때 보수가 대북 굴종정책이라고 비판하고 했던 논리가 똑같다. 저는 진보 보수 이런 소모적인 갈등을 극복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대일 햇볕정책을 하니까 또 진보 좌파에서는 굴종적 정책이다라는 비판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