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성공 뒤 ‘초라한 연봉’ 최대 과제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소속 위성운영부 직원들이 관제실에서 인공위성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항우연 제공] |
[헤럴드경제=양대근·한영대 기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지난 25일 3차 발사에 성공하면서 한국에서도 ‘뉴 스페이스(민간 우주 개발)’ 시대의 서막이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글로벌 우주 개발의 중심축이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빠르게 이동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우주 인재들에 대한 처우 개선과 체계적인 육성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한국판 나사(NASA·미 항공우주국)로 불리는 우주항공청 소속 연구원의 연봉상한을 없애는 등의 내용을 담은 ‘2023년 정부혁신 종합계획’을 지난달 발표했다. 하지만 앞서가는 다른 우주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좀 더 파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항우연)의 석사 초봉은 4379만원이다. 항우연의 평균 연봉 순위는 25개의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21위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 나사의 전문 연구원들은 기본 연봉으로 약 2~3억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미국의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의 경우 석사 출신 초봉이 한화로 약 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고 수준 연구원들의 경우 이보다 수배가 넘는 연봉을 더 받는 상황이다.
이처럼 낮은 처우 등의 여파로 ‘젊은 피 유입’도 더뎌지는 상황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2 우주산업실태조사’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한국에서 우주산업에 참여하는 연구기관 전체 인력은 1175명이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의 민간 우주산업 인력의 수는 15만1797명에 달한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 국내 연구인력 숫자는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미국에서는 매년 전년 대비 2~3%포인트에 달하는 우주 연구인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 관련 학과 한 교수는 “신입생들의 약 40% 정도가 의대를 가기 위해 재수를 준비하거나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중국의 경우 국가 주도로 우주 인재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과거에는 우주에서 거대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에 중점을 뒀지만 지금은 ‘우주 굴기’를 목표로 소프트파워 분야까지 영역을 넓혀 폭넓은 인재 육성에 나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도 이르면 연말께 우주항공청이 본격 설립되면 전문 연구원들이 차관급에 해당하는 우주항공청장보다 더 많은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관측된다. 올해 기준 차관급 공무원 연봉은 약 1억3500만원 선이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장은 “최근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우주항공청 설립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최고 인재 확보와 창의적 연구환경 조성’이 지목됐다”면서 “관련 제도와 장치 등을 특별법과 하위법령을 통해 정교하게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bigroot@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