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더미 이자, 월급날이 무섭습니다” 문닫은 건설사 1년새 2배 폭증 [부동산360]
종합공사업 폐업신고 공고 179→351건
악재 겹치며 부동산PF시장 회복 더딜수도
지방은 악성 미분양 여전…“삐끗하면 부도위기”
서울시내 한 공사 현장의 타워크레인. [연합]

[헤럴드경제=고은결 기자] 지난해부터 이어진 부동산경기 침체·자금경색에 건설업계 ‘줄폐업 공포’가 계속되고 있다. 주택경기가 살아나고 있다지만 자본력, 브랜드파워를 갖춘 대형사가 아니고서야 중소·중견업체는 사업 위축이 불가피하다는 전언이다.

24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키스콘·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날 오전까지 등록된 종합공사업체 폐업 신고 공고는 총 351건이다. 이는 전년 동기(179건) 대비 약 2배 수준이다. 하도급을 담당하는 전문건설업체의 폐업 공고도 1578건에서 1908건으로, 1년 새 약 21% 늘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부도난 건설업체는 총 9곳으로 집계됐다. 종합건설업체 5곳, 전문건설업체 4곳이다.

완전폐업은 아니지만 사업 정리, 축소 등에 나서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키스콘에 등록된 폐업 신고 공고에는 일부 업종만 폐업 신고를 하거나 업종 전환 등록(종합→전문, 전문→종합) 등에 따른 경우도 섞여 있다. 지난 21일 ‘사업 포기’를 사유로 폐업 신고해 서울시가 등록말소를 공고한 피데스피엠씨는 ‘건설’ 면허만 폐업 처리된 경우다. 시공까지 직접 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해 정리한 것으로 풀이된다. 회사 관계자는 “몇 년 전 혹시 직접 시공할 가능성을 고려해 건설 면허를 보유했는데 굳이 유지할 필요가 없어 해당 면허만 정리한 것”이라며 핵심 사업인 부동산개발 관련 면허는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건설업계 위기의 핵심은 주택시장과 비주택시장을 가릴 것 없이 ‘미분양’ 우려다. 특히 지방에서 악성 미분양인 ‘준공 후 미분양’ 문제가 여전하다.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9399가구 중 7407가구(78.8%)가 지방에서 발생했다. 금융사로부터 대출받은 시행사·시공사는 분양에 성공해야 자금을 회수하는데 사업이 미뤄지거나 성과가 나쁘면 대출 연장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로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철근 누락 아파트’ 사태 등 악재까지 겹치며 부동산PF시장 회복세가 더뎌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분양 공포에 시행사 간 토지 확보경쟁도 옛말이 됐고, ‘부도위기만은 피하자’는 기조가 굳어지고 있다. 과거 분양시장이 뜨거울 때와 비교할 수 없는 처지라고 한다. 한 시행사 고위 임원은 “땅을 사들여 잔금까지 치른 후 혹시나 인허가 문제 등으로 삐끗하면 회사가 한순간에 부도위기에 처할 수 있다”며 “사전에 다각도 검토를 거듭하며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비주택 수익형 부동산(오피스텔, 지식산업센터 등)에 대해선 “이를 주력으로 삼았던 시행사들이 자금난에 빠졌다. 가산디지털·구로 쪽도 분양이 잘 안 돼 ‘마피(마이너스 프리미엄)’가 나오는 마당”이라며 “이미 시그널은 7~8개월 전부터 나왔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계에선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중견사는 유동성 위기에 빠지는 회사가 더 늘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도 나온다. 이미 일부 회사는 자금난에 임금체불까지 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한 중소업체는 몇 개월째 월급과 퇴직금 납입이 미뤄져 직원들의 불만이 새어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몇 달치 임금이 밀리다가 부도위기에 넘어한 굵직한 업체들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고 말했다.

k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