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무제한 교통카드 실험, ‘저탄소 교통복지도시’ 마중물로

글로벌 도시경쟁력을 판별하는 기준은 경제, 연구·개발(R&D), 문화 인프라, 거주 적합성, 환경, 접근성 등 다양한 요소가 있다. 국제유가 상승이 이어지는 데다 범지구적으로 폭염·폭우·가뭄 등 기후위기 징후가 나타나면서 요즘은 기후 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사회환경이 주요 기준으로 꼽힌다. 그런 의미에서 서울시가 11일 발표한 ‘기후동행카드’는 저탄소 교통복지도시를 향해 내딛는 묵직한 걸음이다.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등 서울 시내 대중교통 4종 세트를 월 6만5000원 정기권으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니, 직장인이나 학생 등에 호응이 클 것이다.

서울시의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은 2018년 65.1%에서 2021년 52.8%로, 12.3%포인트 줄었다. 이 기간 승용차의 수송분담률은 23.5%에서 38.0%로, 14.5%포인트 상승했다. 승용차 이용자가 3년 새 크게 늘었다는 얘기다. 승용차는 버스에 비해 5배, 지하철 대비 137배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후동행카드를 도입하면 승용차 이용 대수가 1만3000대 줄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 3만2000t 감축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최근 물가·에너지비용이 큰 폭으로 오른 데다 버스요금(1200→1500원)에 이어 다음달 지하철요금 인상(1250→1400원)도 예정돼 있는 만큼 서민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시는 약 50만명의 시민이 1인당 연간 34만원 이상의 할인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추산했다.

‘저탄소’와 ‘교통복지’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움직임은 이미 세계적 흐름이다. 독일은 지난해 6∼8월 우리 돈 약 1만3000원으로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월 9유로 티켓’을 실험 도입해 약 5000만장을 판매했다. 그 결과, 대중교통 이용 25% 증가, 이산화탄소 180만t 저감, 물가상승률 0.7% 감소 등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달성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5월부터 월 49유로(7만원) ‘도이칠란트(D)-티켓’을 본격 도입해 3개월여 만에 1100만장을 판매했다. 프랑스 파리는 월 72.9유로 정기권을, 오스트리아는 연 1095유로 ‘기후티켓’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문제는 내년 1~5월 시범 운영을 거쳐 7월 정식 도입하기로 한 기후동행카드가 서울과 주요 교통망을 공유하는 경기도와 인천시 쪽 출퇴근자는 쓸 수 없는 ‘반쪽짜리’라는 데에 있다. 정부가 같은 시기 도입할 예정인 대중교통 캐시백 ‘K패스’와 중복될 가능성도 있다. 아직 시행까지는 충분한 시간이 있는 만큼 이런 문제점을 협의·보완해 대한민국 전역이 ‘저탄소 교통복지도시’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