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틈새시장’ 햇살론 푸는 지방은행...연체율 딜레마
전북銀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3배
건전성 악화, 리스크 관리비 늘어
광주銀·대구銀 등도 연체율 상승

지방은행이 지방 소멸 위기 속에서 햇살론,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등 서민금융을 통해 살길을 도모하고 있다. 자본력으로 무장한 시중은행과 혁신·편의성으로 고객을 빨아들이는 인터넷전문은행 사이에서 그나마 틈새시장을 찾은 셈이다. 하지만 고금리 상황이 길어지면서, 서민금융상품을 취급할수록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어 딜레마에 빠지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북은행은 지난 10월 한 달 간 235억원의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대출을 취급했다.

이는 월평균 공급 규모인 70억원의 세 배가 넘는 수준으로, 저신용자 대출 수요가 크게 늘어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광주은행도 같은 기간 기존 공급 규모(70억원)의 세 배에 가까운 200억원의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을 공급해 한도를 모두 소진했다.

최근 지방은행들은 서민금융상품 취급에 열을 올리고 있다. 5대 지방은행(대구·전북·광주·부산·경남)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취급한 ‘햇살론15’는 5448억원으로, 이중 대구은행은 지방은행 중 가장 많은 규모인 2262억원을 지원했다.

햇살론15는 20%이상 고금리 대출이 불가피한 최저신용자에게 최대 700만원까지 생계비를 지원하는 서민금융진흥원 보증 대출이다.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근로자햇살론, 햇살론유스, 햇살론뱅크, 햇살론카드, 햇살론15, 최저신용자특례보증, 소액 생계비대출 등 서민금융상품 이용액수는 2021년 4조9603억원에서 지난해 6조9319억원, 올해 8월까지 5조856억원으로 꾸준히 느는 추세다.

햇살론과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등 서민금융상품은 서민금융진흥원이 100% 보증해 연체 등 우려는 없지만, 은행이 판매·관리비를 비롯해 건전성 관리 비용을 들여야 해 재정 부담이 든다. 실제 전북은행은 최근 햇살론15 관련 대출 문의가 쇄도하자 리스크 관리 차원을 위해 불가피하게 비대면 접수를 중단하고 지점 창구를 통한 대출 신청만 받고 있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햇살론15의 경우 인터넷전문은행이나 시중은행도 일부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전북은행과 광주은행만 비대면으로 공급 중인 최저신용자특례보증 상품을 확대 공급하는 것이 정책서민금융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지속적인 정책서민금융상품 공급 시장의 모니터링을 통해 향후 비대면 햇살론15 재개 시점을 판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방은행 연체율은 최근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올해 9월 말 기준 전북은행이 1.34%로 가장 높았는데, 지난해 말(0.69%)보다 무려 0.65%포인트나 증가했다.

이어 광주은행이 같은 기간 0.69%(+0.4%포인트), 대구은행이 0.54%(+0.11%포인트), 부산은행이 0.44%(0.18%포인트), 경남은행이 0.32%(-0.11%포인트)를 기록했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 비율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 비율 또한 높은 수준이다.

특히 올해 3분기 대구·경남·부산은행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분기보다 다소 낮아졌거나 보합세를 보였지만, 전북은행은 0.12%포인트 높아진 1%, 광주은행도 0.09%포인트 상승한 0.54%로 집계됐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방 활성화가 어렵고 인구가 줄어들면서 지방은행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대안으로 저신용자나 외국인 대출 등을 틈새로 공략할 수 밖에 없다”며 “특히 부산 등 경상도 지역보다도 더 인구가 적고, 인프라가 열악한 다른 지역의 경우 이런 부분이 두드러지다보니 연체율이 더 높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지방은행의 현실 속에서 이런 부분이 어쩔 수 없는 탈출구이기 때문에 아주 강하게 연체율 관리를 하라고 말하기도 어려운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호남권 지방소멸 변화상’에 따르면 2021년 전북은 소멸위험지수는 0.46으로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낮음(1.5이상), 보통(1.0~1.5미만), 소멸주의(0.5~1.0미만), 위험진입(0.2~0.5미만), 고위험(0.2미만) 총 5단계로 분류된다.

때문에 지방은행은 지역 서민금융 공급이라는 역할을 해내면서도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토스·핀다와 같은 대출금리비교플랫폼과 손을 잡고 있다. 지방금융지주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 부분에서 이미 시중은행보다 한참 뒤처진데다 관련 인력에 투입할 자본력도 부족해 핀테크와 상생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면서 “대출 상품 제휴를 비롯해 공동대출 상품 개발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서정은·문혜현 기자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