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전·편의부품 수상만 10개”…현대모비스 新성장엔진은 ‘車엔지니어링 기술’ 경쟁력
올해 초 ‘뉴 모비스’ 비전 발표
제동·조향 등 핵심부품 기술 진화
모빌리티 플랫폼 프로바이더 전환 속도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파노라마 선루프 에어백을 비롯한 첨단 에어백시스템 [현대모비스 제공]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현대모비스가 제동·조향·전자현가(전자식 샷시 시스템)·에어백·램프 등 전통적인 자동차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글로벌 톱티어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며 ‘모빌리티 플랫폼 프로바이더’로의 전환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는 평가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올해 안전·편의 부품 분야에서 모두 10개의 대외 수상 기록을 세웠다. 독자적인 노하우와 경쟁력을 바탕으로 대형 플랫폼 형태로 발전시키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나갔다는 평가다.

완성차 핵심부품 분야는 소프트웨어(SW) 중심의 미래 기술과 융합해 모빌리티 산업의 필수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모비스의 핵심부품 기술은 대외에서 크게 주목받으며 국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견인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부품업계 최고 권위로 손꼽히는 북미 오토모티브뉴스가 선정하는 페이스어워드를 처음으로 수상했다. 우수 기술에 선정된 독립형 후륜조향시스템은 좌우 뒷바퀴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최대 10도 가까이 움직일 수 있다. 선회반경을 줄여 안정성과 승차감을 높인 기술이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조향장치 [현대모비스 제공]

올해에는 파노라마 선루프 에어벡과 인휠 시스템 총 2개 제품이 최종 후보에 올라 내년 초 입상을 기대하고 있다. 파노라마 선루프 에어백은 충돌 시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탑승자들의 이탈과 상해를 저감하는 기술로 탑승객 안전기준이 까다로운 해외에서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인증한 NET신기술에 선정됐다.

인휠은 현대모비스의 대표 전기차 구동기술이자, 좁은 공간의 설계 역량을 극대화한 기계공학의 정수로 불린다. 바퀴 안에 소형모터를 넣어 네 바퀴가 각각 독자적인 구동력을 갖출 수 있어 전기차 구동시스템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모비스가 크랩주행으로 불리는 평행이동 기술을 선보인 것도 인휠시스템이 한몫을 했다.

멀티챔버 에어서스펜션 시스템은 한국공학한림원 우수산업기술에 선정됐다. 에어서스펜션은 금속 스프링을 이용한 노면 충격 흡수 장치 대신 고압의 공기를 이용한 에어스프링을 적용한 기술이다. 탑승 인원이나 적재 중량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한 차고를 유지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에어서스펜션에 공기 저장 공간을 여러 단계로 세분화한 ‘멀티챔버’ 기술을 개발했다. 운전자의 기호나 주행조건에 따라 부드러운 승차감을 구현하거나 반대로 고속주행 시에는 단단한 승차감을 구현해 안정성을 높였다.

이외에도 도로사정에 따라 차고를 스스로 제어하는 스마트에어서스펜션과 설계 개선을 이뤄낸 전동식 조향장치가 IR52 장영실상을 수상했다. 디자인을 고려한 램프 공용화 기술, 실내 영상 기반 탑승객 모니터링 시스템도 대외 수상에 선정되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전자식 제동장치.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는 ▷연구개발 과정에서부터 기존에 없던 공법을 도입하거나 ▷무게나 부피, 부품수를 줄여 표준화를 추진하고 ▷생산현장에서도 품질을 개선하는 등 부품산업 전반에 걸쳐 경쟁력을 높여 급변하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올해 안전부품 분야에서 거둔 성과는 연구개발진들의 부단한 노력 덕분”이라며 “핵심부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에 특화된 신기술을 지속해서 선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likehyo8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