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반도체 선전’에 11월 생산·소비 반등...투자는 부진
반도체 12.8%·생산 0.5% 증가
소비 1.0% ↑...투자는 2.6% ↓

지난달 산업 생산이 반도체 선전에 힘입어 한달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소비는 9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투자는 두 달째 부진을 이어갔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1월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1.6(2020년=100)으로 전월보다 0.5% 증가했다.

지난 10월 1.8% ‘마이너스’에서 벗어나 한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반등을 이끈 것은 제조업이었다. 11월 제조업 생산은 전월보다 3.3% 증가했다. 지난 8월(5.3%)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D램과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 반도체 생산 증가에 힘입어 반도체 생산이 12.8% 늘었다. 10월 12.6% 감소를 딛고 두 자릿수 증가 흐름을 회복했다. 웨이퍼 가공 장비와 반도체 조립 장비 등의 생산이 늘면서 기계 장비도 8.0% 증가했다. 제조업의 재고·출하 비율은 114.3%로 전월보다 8.9%포인트(p) 하락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기저효과와 함께 최근 인공지능(AI) 서버용 반도체 수요 확대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도소매(1.0%)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운수·창고(-1.4%) 등에서 생산이 줄었다.

금융·보험도 0.7% 줄어 석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예대 금리차 축소에 따른 이자 수입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 판매는 1.0% 늘었다. 지난 2월 5.2% 증가한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연말 세일 행사 등의 영향으로 승용차 등 내구재(2.6%)의 판매가 늘었으나,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0.4%) 등 판매는 줄었다.

설비투자는 항공기 등 운송장비(-5.7%)와 기계류(-1.5%)에서 모두 줄어 전월보다 2.6% 감소했다. 건설기성 역시 건축(-3.0%) 및 토목(-7.3%)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4.1% 감소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9로 전월보다 0.1%p 하락했다.이는 올해 6월(-0.2),7월(-0.5),8월(0.2), 9월(-0.2), 10월(-0.2) 등으로 6개월째 하락세다.

반면,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9로 0.2p 올랐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 생산·수출 중심 회복흐름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으나, 상·하방 리스크 요인 상존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수출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경기 회복의 온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민생·내수활력 제고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동산PF, 가계부채, 공급망 안정 위험 등 취약부문의 잠재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하고 대응에 만전을 기하고 영세 소상공인 등 민생·내수 취약부문 지원을 강화하고, 건설 활력 제고 등 지역경제 회복 지원을 통해 체감경기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