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北 위성발사, 안보리 결의 위반"
민생 강조, 초국경범죄에도 대응
기시다 총리 "3국 공통 과제도 힘쓸것"
리창 총리 "장기적 공동이익 주목"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윤 대통령,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연합] |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한일중 3국 공통의 핵심 이익인 역내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목표 아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또 이날 채택된 한일중 공동선언에 대해 "우리 3국이 민생 증진과 역내 평화와 번영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와 개최한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북한이 오늘 예고한 소위 위성 발사는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국제사회가 단호하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3국 정상회의는 정상화되었고, 올해로 25주년을 맞이한 한일중 협력체제가 앞으로 더욱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며 "3국 협력의 원동력이 국민들의 지지에 있다는데 공감하고, 3국의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윤 대통령,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 [연합] |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3국협력의 기반은 세 나라 국민들의 상호이해와 신뢰"라며 "우리는 2030년까지 연간 인적교류 4천만명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특히 미래세대간 교류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2025년과 2026년을 한일중 문화교류의 해로 지정해 인적, 문화적 교류를 더욱 활성화해 나가기로 했다고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가 민생에 보탬이 돼야함을 강조하며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무역·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안전한 공급망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나아가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 공중보건 위기, 초국경범죄에도 협력하면서 함께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3국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키우기 위한 인적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저출생·고령화 대책과 같은 3국 공통의 사회·경제적 과제에도 힘쓰겠다고 했다. 글로벌 과제 해결에도 3국이 솔선해 선진적인 무대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또 기시다 총리는 "지역 전체의 안정과 번영을 위해 3국과 아세안과의 협력 추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그 일환으로 신속 금융 프로그램 창설 등 아세안과의 협력이 꾸준히 진전되고 있음을 세 정상은 환영했다"고 했다.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안정이 3국 공동의 이익임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도 전했다.
그러면서 "납치문제의 즉시 해결을 위해 양 정상께서 계속 지원해 주실 것을 요청드렸고, 양 정상께서 이해를 표명해 줬다"고 말했다.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에 대해 "세계 어디서든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입장을 전했다고 언급했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도 세 가지 측면에서의 협업을 강조했다. 리창 총리는 "장기적인 공동 이익에 주목하고, 선린 우호를 보여줘야 한다"며 "더 높은 수준의 협력 상생에 주목해서 실질적인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 일환으로 경제·무역의 폭발적 연결을 심화하고, 역내 산업망·공급망 협력을 강화하여 한일중 FTA 협상 체계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과학기술 혁신 협력을 심화하고 특히 인공지능, 디지털 경제, 녹색 경제 등 첨단 분야의 협력을 강화할 것을 강조했다. 인문 교류 확대 뿐 아니라 동북아 지역에서의 안정, 안전을 함께 수호하고, 지역과 세계 평화 안녕을 추진한다고도 전했다.
리창 총리는 "이번 회의 종료 후 일본은 이어서 의장국을 맡는 데 의견에 합의했다"며 "중국 측은 차기 정상회의가 순조롭게 개최되도록 일본이 의장국으로서 직책을 이행하는데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고 언급했다.
luck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