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상진 성남시장, 자연재해도 경영한다…비법은 ‘퇴적토’
성남시, 탄천 15.7㎞ 구간 준설 완료…하천 범람 막는다
수질은 1급수로 더 깨끗해져
준설 작업 마친 성남 구미동 일대 탄천.[성남시 제공]

[헤럴드경제(성남)=박정규 기자]성남시는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해 2개년 계획으로 추진한 탄천 15.7㎞ 구간의 퇴적토 준설 작업을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3월부터 최근까지 31억원이 투입된 이 준설 작업은 ▷1단계 서울 방향~여수대교 5.2㎞ ▷2단계 여수대교~용인 방향 10.5㎞ 등 단계적으로 이뤄졌다.

시가 준설 작업으로 탄천 바닥에서 파낸 퇴적토는 5만7974㎥에 이른다. 시는 퇴적토로 좁아졌던 탄천의 하천 폭을 평균 1m가량씩 넓혀 하천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었다.

하천의 수질 정화 효과로 이어졌다. 2022년 평균 2급수이던 탄천 수질은 1급수로 더 깨끗해졌다.

시는 백궁교, 방아교 등 탄천 곳곳에서 1급수에만 서식하는 버들치를 발견했다.

시 관계자는 “재해로부터 안전한 하천 환경 조성을 위해 민선 8기 치수 대책의 하나로 2단계에 걸친 퇴적토 준설을 추진했다”면서 “매년 발생하는 퇴적토를 정기적으로 준설해 하천 유지 관리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fob14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