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불상사 없이 마무리…끝까지 대응”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이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응급의료상황 관련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대통령실은 19일 “이미 수시 등 대학 입시가 진행 중인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은 조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다만 26학년도 이후의 의대 정원에 대해서 정부는 유연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추석 전 제안한 여야의정 협의체와 관련해서는 “정부도 여야정 협의체에 적극 참여할 것이며 의료계의 참여를 함께 설득해 나가고자 한다”며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는 정부의 일관된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장상윤 사회수석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의료계가 과학적 근거를 갖춘 합리적 의견을 제시한다면 정부는 열린 마음으로 논의에 임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장 수석은 여야의정 협의체와 관련해 “의료계는 정부의 태도 변화와 같은 전제조건을 달며 문제 해결을 미룰 것이 아니라 우선 대화의 장에 나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결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매일 진료실에서 마주하는 환자들은 의사 여러분께, 의사 여러분께서 지켜야 할 국민”이라며 “의사의 존재 이유인 환자의 외침을 외면하지 마시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주시기를 다시 한 번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의료계는 대형병원 의사, 경영진, 동네병원 개원의, 봉직의, 전공의, 의대생 등 다양한 집단이 있고 저마다 기구를 가지고 있어 여야의정 협의체를 구성하는 데 설득이 필요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오게 하는 데는 굉장한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 한 곳이라도 의향을 물어보고 취지를 설명해서 협의체를 조속히 가동하겠다는 데에 당정이 같은 마음이고, 같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이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응급의료상황 관련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
한편 장 수석은 “어제까지 5일간의 연휴 동안 응급의료 현장은 어려움과 국민 불편이 없지 않았지만 걱정했던 것보다는 큰 불상사 없이 마무리됐다”며 “우려했던 대란, 붕괴, 마비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장 수석은 그 이유로 의료진의 헌신, 성숙한 시민의식, 지방자치단체와 소방 구급대원들의 헌신을 꼽았다.
장 수석은 “대형병원 응급실은 전공의가 이탈한 가운데 진료가 이루어지고 있어 현장을 지켜주고 계신 의료진의 번아웃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아직 추석 연휴 비상대책 기간이 일주일이나 남아 있는 만큼 정부는 지자체와 함께 긴장 가지고 끝까지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비상대책기간 이후에도 의료 인력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현장의 의료진이 지치지 않고 응급의료 체계가 지속 가능하도록 필요한 대책을 계속해서 강구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언론을 통해 ‘응급실 뺑뺑이 사례’로 보도된 광주 손가락 전단 사례, 충북 청주 산모 사례, 대전 자상환자 사례에 대해 장 수석은 “모두 수지접합, 응급 분만과 신생아 입원, 외상과 같은 필수의료 인력이 부족한 분야의 사례들”이라며 “응급실에 가서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처리를 할 수 없고 배후진료, 후속진료를 담당하는 전문의가 꼭 필요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을 제일 잘 아는 의료계에서도 중증 응급 분야와 소아 분만과 같이 저출산으로 영향을 받는 분야의 경우, 오래전부터 전문의 부족과 의료사고 부담 등 어려움을 호소해 왔다”며 “부족한 필수의료 인력이 정주 여건이 좋은 수도권으로만 쏠리다 보니 지방으로 가면 인력 부족 현상이 이미 만성화가 돼 있다. 지방의료원에서는 천문학적인 연봉을 제시해도 지원하는 의사가 없고 이제는 기사화도 되지 않을 만큼 일상이 됐다”고 짚었다.
장 수석은 “의학이 발달해서 전문성이 높아지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나 진료 영역이 좁아지는 만큼, 의사의 수도 늘어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의료 공백이 점점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응급환자를 제대로 신속하게 치료하기 위해서는 필수의료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 보다 촘촘하게 배치돼야 하고, 보다 많은 필수의료 전문의가 배치돼야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이 갖춰지게 된다. 이것이 의료개혁을 추진해야 하는 주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silverpape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