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교부, 이집트 사태에 “자원외교 영향받을까 고심”
튀니지에서 시작돼 이집트, 요르단 등으로 확산되고 있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정정불안으로 정부의 대(對)아프리카 외교도 비상이 걸렸다. 자원ㆍ경제 외교를 위해 새해 벽두부터 분주하게 아프리카로 향하던 외교부의 발걸음도 이번 사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게 외교가의 관측이다.

2일 외교부에 따르면 김성환 장관은 오는 5일부터 알제리 및 리비아를 방문할 계획으로 관련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해 취임 이후 추진하고 있는 ‘복합ㆍ총력외교’의 일환으로 북아프리카 자원 부국을 공략하겠다는 의지다.

지날달에는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를 필두로 한 범 정부 대표단이 에디오피아와 우간다, 카메룬에 파견되기도 했다. 또 김재신 차관보도 최근 에디오피아에서 열린 아프리카연합(AU) 정상회의에 옵서버로 참석, DR콩고, 에티오피아, 가봉 및 가나 외교장관 등과 양자 회담을 연달아 갖는 강행군을 펼쳤다.

지난해 예정됐다 북한의 연이은 도발로 취소됐던 이명박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도 외교가에서는 초미의 관심사다. 그동안 정부가 공들여온 각종 자원외교 결과물이 대통령의 순방을 계기로 구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교가의 한 관계자는 “오랜만에 이뤄지는 정상 순방인 만큼 아프리카 각 공관마다 대통령 행선지를 놓고 보이지 않는 신경전이 치열하다”며 “지도자의 최종 결정이 중요한 아프리카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최근 튀니지, 이집트, 요르단 등 북부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번저가고 있는 잇단 소요 사태가 정부의 아프리카 외교에 복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겉으로는 내부 정치적인 문제인 만큼, 상호 경제 발전을 추구하는 자원 외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지만, 급격한 정치적 불안은 그동안의 노력을 일순간에 물거품으로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외교부 한 관계자는 “이집트나 알제리 등 소요 사태가 발생한 지역 대부분이 우리의 자원 공급선과는 거리가 있어 당장 눈에 띄는 영향은 없다”며 “그러나 향후 사태 추이에 따라 범 아프리카 외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사태를 예의주시 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최정호 기자@blankpress>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