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육군총장, 인태지역 지상군 수뇌부와 北 핵·미사일 대응 논의
미·일·호 수뇌부 등 인태지역 협력 확대
군사교류협력 발전·방산협력 활성화 협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LANPAC에 참석해 패널 토의를 하고 있다.[육군 제공]

[헤럴드경제=오상현 기자]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미국과 일본, 호주의 지상군 수뇌부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억제하고 대응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육군은 20일 “박 총장이 인도·태평양 지상군 심포지엄(LANPAC)을 계기로 지난 12∼19일 미국을 공식 방문했다”고 밝혔다.

박 총장은 하와이에서 열린 LANPAC에서 미국 찰스 플린 태평양육군 사령관, 일본 모리시타 야스노리 육상막료장, 호주 사이먼 스튜어트 육군참모총장과 패널 토의에 참석해 최근 역내 안보 상황을 평가했다.

이들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 억제 대응 및 인도·태평양 지역 다자 안보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육군은 “패널 토의를 통해 한·미·일·호 4자는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 협력의 중요성을 보다 깊이 인식한 가운데 고위급 교류 활성화와 함께 다자간 교류협력의 분야와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총장은 이어 영국 참모총장 지명자와 말레이시아 참모총장 등 주요국 참모총장들과 대담을 통해 양국 육군 간 연합훈련을 포함한 군사교류협력 발전 및 방산협력 활성화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심포지엄에 앞서 박 총장은 미 육군본부에서 랜디 조지 육군참모총장을 만나 양국 육군의 미래 준비를 위한 교류협력 심화 방안을 논의했다.

박 총장은 이 자리에서 미 육군의 주요 정책을 듣고 현안 토의를 하면서 당면한 도전 극복을 위한 양국 육군의 공동 노력 필요성을 확인했다.

한미 양국의 육군 참모총장은 이 자리에서 굳건한 한미동맹의 의미를 되새기고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 구현을 위한 육군 차원의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육군은 “앞으로 미국을 포함한 인태지역 주요국과 논의한 인적교류 확대, 연합훈련 활성화, 방산협력 지원 등을 구체화해 추진하면서 동맹 및 우방국들과 안보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지난 13일 펜타곤을 방문해 랜디 조지 미 육군참모총장과 양국 육군의 교류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육군 제공]
legend199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