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佛과 공조 추진…현지 해적거점 집중추적
검찰 아덴만 수사착수…‘해적과의 전쟁’ 2라운드 돌입
선원 진술 상당부문 확보

‘유탄논란’ 국과수 결과후로

특별수사본부 체제 가동


경찰로부터 아덴 만 해적을 넘겨받은 부산지검(곽상욱 검사장)은 8일부터 본격적인 액션플랜을 가동했다. 공안부 최인호 부장검사를 비롯해 검사 4명이 이미 남해해양경찰청의 소말리아 해적 수사 전 과정에 직ㆍ간접적으로 참여했고, 이날 검사 3명을 추가로 투입해 ‘특별수사본부’ 체제로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특별수사본부의 총괄 지휘는 정점식 제2차장 검사가 맡고, 해적의 배후 규명 등 추가적인 수사 요인이 발생하면 수사팀을 더 확대할 계획이다.

검찰은 경찰의 수사 성과를 바탕으로 증거를 명확히 하고 배후를 분명히 하며, 논란이 되고 있는 석해균 선장 몸에서 나온 총알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논란이 되고 있는 석 선장이 해적이 쏜 AK소총탄 외에 해군 총탄까지 맞은 경위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방증 자료 수집만 하고, 최우선과제로 해적들의 ‘정체’와 ‘목적성’을 보다 분명히 하는 데 수사력을 모을 방침.

특히 삼호주얼리호 납치 사건을 주도했던 것으로 알려진 두목 아브디 리스크 샤크(28)와 부두목 수티 알리 하루트(29)가 선박용 위성통신 장비(INMARSAT)를 통해 수시로 해적 본거지와 통화해 정보를 주고받았던 사실이 추가로 드러남에 따라 전화 수신자, 즉 ‘배후’에 대한 수사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해적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선박 납치를 지휘한 배후세력이 존재한다는 것은 선원들의 진술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해적 2~3명이 삼호드림호 납치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해적 두목이 수시로 위성전화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았다”는 김두찬 갑판장의 진술은 이 같은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선박용 위성통신 장비의 경우, 운행 중 통신 기록을 모두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통화 상대의 전화번호를 중심으로 위성과 연결된 기지국 등을 역추적한다면 해적들에게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한 배후세력의 윤곽을 파악할 수 있다는 분석도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검찰과 경찰은 이미 이틀 전 삼호해운 측에 당시 통화 내용을 요청해놓았다.

검찰은 일단 지난 7일 오후부터 해경의 수사 결과를 검토하고, 해적들에 대한 기본적인 혐의 입증에 주력한다는 입장이다.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된 사건이기에 국제 사법기관들과의 공조 수사를 통해 해적들의 배후세력을 파악하는 일도 간과할 수 없게 됐다.

국제 공조 수사는 아무래도 소말리아 내부 정보에 유리한 유럽이나 아덴 만 인근에 군대를 파견하고 있는 미국 측과의 협조가 유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해군의 아덴 만 작전 당시부터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협력이 있었던 것도 이러한 공조 체계를 예상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해경의 수사 결과에 따르면 해적 13명 중 10명은 모두 소말리아 푼틀란드 갈카요(Galkayo) 지역에서 살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이들의 배후조직으로 푼틀란드 조직이 지목되고 있다.

유엔 난민기구에 따르면 갈카요는 일종의 난민촌으로, 남과 북으로 나뉘어 17년간 내전을 거치는 동안 중첩된 지역으로 2009년 이후 최대 해적 본거지로 떠오른 지역이다. ‘그린라인(Green Line)’으로도 불리는 갈카요는 자유로운 분위기와 북유럽과 예멘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는 지리적 이점으로 해상강도가 빈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윤정희 기자/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