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5년까지 교사-예비교사 1만명 해외진출 지원
오는 2015년까지 전체 교원과 예비교원의 1% 가량인 교사와 예비교사 1만여명에게 해외파견, 교사교류, 해외연수 기회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교ㆍ사대 교육과정을 해외 진출이 목적인 글로벌 교원양성과정과 일반 교원양성과정으로 분리ㆍ운영하도록 유도하고, 기존 교사의 해외 파견에 대해서는 기간을 현행 3~6개월에서 12개월로, 국가 및 기관도 3개국 5곳에서 10개국 20곳으로, 대상 과목도 수학ㆍ과학 중심에서 한국어ㆍ전문계 과목 등으로 확대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우수교원 해외진출지원 5개년 계획’을 8일 발표했다. 계획 실천을 위해 교과부는 ▷현직ㆍ예비교사의 해외진출 지원확대 ▷교원 양성과정 내실화를 통한 교원양성 역량강화 ▷교원 해외진출 기반구축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고도화 등 3대 부문에 걸쳐 16개 과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계획에 따르면 ‘국내교원 해외진출사업’에서 시ㆍ도교육청별 파견인원을 현행 14%(3명)에서 50%(125명)까지 늘리고, 국내 소재 외국 교육기관ㆍ외국인 학교와 재외 한국학교 등에 교사 취업을 지원한다. 또 방학을 이용해 해외 학교와 교사 교환 및 공동수업을 진행하는 한편 교ㆍ사대생의 해외교생실습(인턴) 확대를 위해 대상 지역을 미국에서 일본ㆍ중국ㆍ동남아 등지로 늘리고, WEST(국비지원해외인턴십ㆍWork, English Study & Travel) 제도를 활용한다.

교ㆍ사대의 경우 해외 대학과의 복수ㆍ공동 학위 양성을 위해 ‘국내대학 4년+해외대학 1년(4+1)’ ‘학부-대학원 연계과정(3+2)’ 개설을 지원해 단기간에 해외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돕는다. 영어 수업이 가능한 TiE(Teaching in English) 교육과정도 개설한한다. 또 ‘교원양성기관 평가’에서 국제수준 교원 양성 내용을 지표화한다.

교과부 관계자는 “선진국의 경우 교사 부족과 더불어 외국인 교사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교ㆍ사대 임용률이 낮아지고 기간제 교원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계획을 통해 이 같은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교사 임용시험생 등 교육계 일부에서는 “해외진출이라는 명분 하에 교사 과수요를 해결하려 한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신상윤 기자 @ssyken>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