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나라 개헌갈등 2R…특별기구 3대 걸림돌은
친박 행보ㆍ최고위 의결ㆍ활동시한
벌써부터 반쪽기구 우려

홍준표·정두언 등 ‘부정적’

논의 시점·완료 시기 논란


한나라당이 개헌의총을 마치고 당내 개헌 특별기구를 설치키로 합의, 논의의 명맥을 이어가기로 했지만 실제 기구 발족까지도 적지 않은 난제가 기다리고 있다.

▶친박 불참으로 ‘반쪽 기구’ 우려=안상수 대표는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개헌특위 구성은 최고위의 논의를 거쳐 조속히 마치고, 중대한 논의와 심도 깊은 검토로 국민의 공감대를 얻어 개헌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9일 의총에서 개헌뿐 아니라 논의기구 구성에 반대 입장을 밝혔던 친박계(친박근혜계) 의원들의 참여가 불투명한 상황이라서 향후 구성될 기구가 자칫 친이계(친이명박계)만을 위한 ‘반쪽 기구’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럴 경우 기구 자체가 당의 전체적인 의견을 모으지 못한다는 비판을 살 수 있어, 자칫 구성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친박계 서병수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구제역 등으로 힘든 이 시점에 굳이 개헌의총을 열어야 하는지 답답한 심경이었다”며 “개헌기구를 구성하기로 결론을 낸 데에는 ‘당이 다시 갈등관계에 빠지고 분란에 휩싸여선 안 된다’는 여러 의원의 인내와 관용이 반영된 것이란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헌특위를 구성하기로 했으니까 당파적 운영 등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나오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등 당정 고위 인사들이 10일 오전 국회에서 구제역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당정회의에 앞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유정복 농수산식품부 장관, 김 원내대표, 맹 행안부 장관, 이만의 환경부 장관, 정운천 한나라당 구제역대책특위원장. 양동출 기자/dcyang@heraldcorp.com
▶최고위 의결도 쉽지 않아=최고위 인준을 거쳐야 하는 기구 구성 절차 문제도 험로가 예상된다. 서 최고위원을 비롯해 홍준표ㆍ정두언ㆍ나경원 최고위원 등 지도부 절반 이상이 개헌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왔기 때문에 최고위 의결도 녹록하지 않다는 관측이다. 홍 최고위원은 “특정 정치세력이 수의 힘으로 (개헌을) 밀어붙이는 것은 옳지 않다. ‘함께 내일로’가 주축이 되는 것은 더더욱 옳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활동 시한 논란=또 개헌에 찬성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목표 시기에 의견차가 있기 때문에 특별기구의 활동 시한에도 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헌에 총대를 메고 추진해왔던 친이계 주류 입장에서는 늦어도 올해 안에 마무리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다른 찬성론자는 이번 국회에서 논의를 시작하고 19대 국회에서 마무리 짓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기 때문이다. 정몽준 전 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개헌이 18대국회에 가능하기엔 쉽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일단 지금 논의를 시작해야 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9일 저녁 비공개 원내대표 회동 자리에서 개헌 논의가 오갔을 것이란 추측과 관련해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10일 “여러 얘기가 있었지만 개헌 얘기는 없었다”고 명확히 했다.

이상화ㆍ서경원 기자/sh9989@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